문화·스포츠 문화

백범 김구 친필휘호 '광명정대' 美서 돌아왔다

동지 손자에 선물 '광명정대'

후손인 재미동포가 무상기증

백범 김구의 친필 휘호인 ‘광명정대’./사진제공=문화재청백범 김구의 친필 휘호인 ‘광명정대’./사진제공=문화재청



백범 김구(1876~1949)의 친필 휘호인 ‘광명정대(光明正大)’가 고국으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백범 김구가 지난 1949년 안중근 의사 순국 39주년을 기념해 쓴 글씨를 독립운동가 김형진(1861~1898)의 후손에게 기증받아 5일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인도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에 고국으로 돌아온 김구의 글씨 ‘광명정대’는 1949년 3월26일 안중근 의사 순국 39주년을 맞아 김구가 독립운동 동지였던 김형진의 손자 김용식에게 손수 써 선물한 것이다. 광명정대는 언행이 떳떳하고 정당하다는 뜻이다.


독립운동가 김형진은 김구와 1895년 무력으로 일제를 격퇴할 것을 결의하고 중국 선양에 원조를 요청하기 위해 동행했으며 1896년에는 김구와 함께 의병에 가담해 활발하게 활동했다. 그러나 1898년 동학 교단 조직 ‘접(接)’의 책임자인 동학의 접주(接主)로 활동하다 체포돼 일제의 고문 끝에 생을 마감했다. 1990년 정부에서 고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관련기사



광복 후 김구는 김형진의 유족을 자주 보살폈으며 서거하던 해인 1949년 김형진의 손자인 김용식에게 ‘광명정대’를 써서 선물했다. 이후 이 글씨는 1960년대 김용식의 6촌 동생 김태식씨에게 전달됐고 김태식씨는 1973년 이를 가지고 미국 이민을 떠났다. 김태식(83세)씨는 올해 4월 오는 2021년 개관할 예정인 ‘국립 대한민국 임시정부기념관’에 ‘광명정대’를 전달해줄 것을 요청하며 주시애틀 대한민국 총영사관을 통해 정부에 무상 기증 의사를 밝혔다.

이 글씨에는 ‘광명정대’ 네 글자와 글씨를 선물 받은 김용식의 이름, 작성 일자가 적혀 있으며 백범의 인장 2점(金九之印·白凡)이 찍혀 있다. 전문가들은 ‘광명정대’가 지금까지 알려진 바 없는 백범의 휘호여서 희소 가치가 클 뿐 아니라 필체에도 백범의 기백이 잘 드러나 있다고 평가했다. 문화재청은 기증자의 뜻에 따라 2021년 개관하는 국립 대한민국 임시정부기념관에서 ‘광명정대’를 관리하도록 할 계획이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