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UN 인권그룹 "日 정부, 후쿠시마 원전 청소 근로자들 보호해야"

"투입 근로자 대부분 이주 노동자·난민 신청자 등 사회적 약자들"

유엔 인권전문가 그룹은 16일(현지시간) 공동성명을 통해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청소 작업에 투입한 근로자 수만 명의 권리를 보호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방사선 노출 위험을 속인 채 근로자들을 착취할 가능성과 경제적으로 어려운 근로자들이 위험한 작업 환경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 등을 우려한다”며 근로자들에게 적절한 훈련 및 보호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은 후쿠시마 원전./출처=연합뉴스유엔 인권전문가 그룹은 16일(현지시간) 공동성명을 통해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청소 작업에 투입한 근로자 수만 명의 권리를 보호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방사선 노출 위험을 속인 채 근로자들을 착취할 가능성과 경제적으로 어려운 근로자들이 위험한 작업 환경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 등을 우려한다”며 근로자들에게 적절한 훈련 및 보호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은 후쿠시마 원전./출처=연합뉴스



유엔 인권전문가 그룹은 16일(현지시간) 공동성명을 통해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청소 작업에 투입한 근로자 수만 명의 권리를 보호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방사선 노출 위험을 속인 채 근로자들을 착취할 가능성과 경제적으로 어려운 근로자들이 위험한 작업 환경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 등을 우려한다”며 근로자들에게 적절한 훈련 및 보호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 그룹은 후쿠시마 원전에 투입된 근로자들이 대부분 이주 노동자, 난민 신청자, 노숙자와 같은 사회적 약자들이라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전문가 그룹은 “유독 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큰 사람들은 결국 가장 착취당할 수 있는 빈곤층, 이주 노동자, 장애인, 노령 근로자들”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관련기사



성명에 따르면 2011년 3월 대지진과 쓰나미로 파괴된 후쿠시마 원전에는 이후 방사능 제거 작업에 수만 명의 근로자들이 투입됐다. 일본 정부는 2016년 4만6,386명이 원전 수습에 투입됐다고 밝힌 바 있다. 2016년까지 5년간 방사능 청소에 투입된 인원은 총 7만6,951명에 이른다.

성명에는 베스컷 툰칵 유엔 유해물질 특별보고관과 우르밀라 브후라 현대적 형태의 노예노동에 관한 특별보고관, 다이니우스 푸라스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관한 특별보고관이 함께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