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파갈등 수습, 가치 재정립은 합격점=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의 가장 큰 성과는 친박계와 비박계 간 내홍을 가라앉히며 당을 추스르고 있다는 점이다. 홍준표 전 대표처럼 막말도 없다. 언어에 품격이 있다. 한국당은 지방선거 참패 이후 당의 재건방향을 두고 조기 전당대회를 주장하는 친박계와 비대위원회를 부르짖는 비박계로 나눠 당이 쪼개질 정도였다. 내전에 가까웠다. 김 위원장은 취임 직후부터 분열된 당의 화합을 위해 중진은 물론 초·재선 의원들과 식사를 함께하며 소통 행보를 이어왔다. 홍 전 대표의 독선적인 리더십과 대비된 김 위원장의 소통 행보는 계파갈등을 누그러뜨리는 데 일조했다는 게 당내의 대체적인 평가다. 보수 가치도 재정립하고 있다. 냉전·수구 논리에서 벗어나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 등 문재인 정부의 핵심정책을 ‘국가주의’로 비판하고 시장 자율을 강조하면서 당의 가치를 재정립하고 있다. 김 위원장이 출범 직후부터 펼친 ‘국가주의’ 대 ‘반국가주의’ 프레임은 정부를 견제하는 강성 야당으로서의 존재감을 분명히 했다. 최순실 국정농단과 남북관계 변화라는 시대 흐름에 맞춰 한국당에 고착된 ‘반공 보수’ 이미지를 탈피한 점도 성과 중의 하나다.
◇인적청산·대안정책 마련은 한계=명(明)이 있으면 암(暗)이 있는 법. 그로기 상태에 빠졌던 한국당을 재건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했고 한 달간의 수술로는 분명 한계가 있었다. 한국당 비대위의 궁극적인 목표는 오는 2020년 총선 승리에 있다. 따라서 김 위원장이 지지율 반등을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암초는 인적청산이다. 당내 분란을 수습하고 화합에 방점을 찍다 보니 인적쇄신은 미흡했다는 평가가 많다. 과거 사례를 봐도 국민 지지를 회복하면서 성공한 비대위는 과감한 인적쇄신 작업을 힘있게 밀어붙였다. 2011년 ‘박근혜 비대위’는 친이계 학살이라는 비판에도 2012년 19대 총선 때 현역 의원 25%를 공천에서 컷오프하는 인적청산을 단행해 선거에서 승리했다. 인적쇄신 작업이 여의치 않은 것은 비대위의 당내 지지기반이 취약하기 때문이다. 공천 시스템 개혁 등 김 위원장이 인적쇄신 작업 과정에서 수면 아래에 있는 계파갈등을 극복하지 못하면 지지층 결집에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김 위원장이 시장 자율을 강조하며 당의 가치를 새롭게 정립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현실적인 정책이 부재하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7일 민생정책을 만들기 위해 비대위 산하에 소위원회를 가동했지만 구체적인 결과물은 나오지 않고 있다. 한국당의 한 초선 의원은 “김 위원장이 교수 출신이다 보니 현실적인 대안보다 거대담론에 치우친 것은 아닌가 우려된다”고 촌평했다. 가뭄에 말라붙은 풀잎처럼 좀처럼 움직이지 않는 지지율도 고민거리다. 한국갤럽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지난 14~16일, 전국 성인 1,002명 대상,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3.1%포인트)에 따르면 한국당의 지지율은 11%로 군소정당인 정의당(15%)보다 낮다. 등을 돌린 보수층의 민심을 되돌리기에는 한국당의 혁신작업이 기대에 못 미친다는 방증이다. 인적청산·민생정책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면 김병준호는 표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