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씨는 18일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에서 ‘미투운동과 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5차 성차별·성폭력 끝장집회’에서 정혜선 변호사가 대독한 편지를 통해 선고 이후 자신의 심경을 밝혔다.
김씨는 “살아있겠다고 했지만, 건강이 온전치 못하다”며 “죽어야 미투로 인정된다면 죽어야 하나 생각도 했다”고 호소했다.
8월14일(선고일) 이후에는 여러 차례 슬픔과 분노에 휩쓸렸다”고 전한 김씨는 “세 분 판사님들은 제 목소리를 들었나. 검찰이 재차 확인한 증거들을 봤나. 듣지 않고 확인하지 않으면서 왜 묻나. 왜 내 답변은 듣지 않고 가해자 말은 귀담아듣는가”라며 재판부 판사 3명이 자신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저는 그날 안희정에게 물리적 폭력과 성적 폭력을 당했다. 그날 제가 할 수 있는 최대의 거절을 분명히 표시했다. 그날 직장에서 잘릴 것 같아 도망치지 못했다. 그날 일을 망치지 않으려고 티 내지 않고 업무를 했다. 그날 안희정의 ‘미안하다, 다시는 그러지 않겠다’는 말을 믿었다. 그날 안희정의 범죄들을 잊기 위해 일에만 매진했다”며 성폭력 피해가 있었음을 거듭 강조했다.
이어 “안희정에게는 왜 김지은에게 미안하다 말하며 그렇게 여러 차례 농락했나 물으셨나. 왜 페이스북에 ‘합의에 의한 관계가 아니었다’고 썼느냐고 물으셨나. 왜 검찰 출두 직후 자신의 휴대전화를 파기했느냐고 물으셨나”라고 질문했다.
김씨는 “왜 내게는 묻고 가해자에게는 묻지 않나”라며 “가해자의 증인들이 하는 말과 그들이 낸 증거는 다 들으면서 왜 저의 이야기나 어렵게 진실을 말한 사람들의 목소리는 듣지 않았나”라며 재판부를 향해 강한 서운함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합리적이고 상식적인 판결을 하는 판사를 만나게 해달라고 간절히 바라는 것”이라며 “바로잡을 때까지 이 악물고 살아있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강한 저들의 힘 앞에 대적할 수 있는 것은 여러분의 관심밖에 없다”며 “바로잡을 때까지 도와 달라”고 호소했다.
한편,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성폭력 혐의 사건 무죄에 분노한 시민들이 18일 집회를 열고 사법부와 수사기관을 규탄했다. 350여 개 여성·노동·시민사회단체가 모여 결성한 ‘미투운동과 함께하는 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은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에서 ‘여성에게 국가는 없다-못살겠다 박살내자’는 이름의 집회를 열었다. 경찰은 집회 참가 인원 추산을 밝히지는 않았으나 애초 예상했던 1천∼2천 명보다는 많을 것으로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