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처럼 재개되는 상봉을 지켜보는 이산가족들의 표정은 엇갈린다. 한편에서는 환영과 기대감이 크지만 또 다른 쪽에서는 아쉬움이 가득하다. 이번에 컴퓨터 추첨으로 금강산 상봉 기회를 잡은 이산가족이 고작 89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대다수가 TV 화면으로 다른 가족들의 금강산 상봉장면을 보면서 이산의 한을 달래야 한다. 자신들에게는 언제 상봉기회가 주어질지 기약이 없는 상태다.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는 모든 이산가족이 살아생전 재회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1988년 이후 이산가족 등록자는 13만여명에 이르지만 2000년 이후 20차례의 상봉행사로 직접 혈육을 만난 인원은 남북 양측에서 2만명도 채 안 된다.
더 큰 문제는 실향민 1세대가 점차 고령화되면서 마냥 상봉을 기다리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이산가족의 평균 연령을 보면 80세 이상이 63%에 이른다. 이번에 상봉에 나선 남측 방문단의 최고령자 나이는 101세다. 끝내 혈육을 만나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난 이산가족만도 해마다 4,000명에 이른다. 이미 7만여명이 이산의 한을 남기고 숨을 거뒀다.
이산가족에게 남은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 상봉 정례화와 상설면회소 설치가 정법이지만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전면적인 생사확인이다. 그래야만 양측 간 서신 교환이나 전화ㆍ화상통화 등으로 연락이 닿도록 한 발짝 나아갈 수 있다. 이산가족 상봉이 남북관계에 따라 중단·재개가 반복되는 과거의 행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한반도 비핵화가 추진되는 지금이야말로 최적기다. 이번 상봉을 계기로 남북이 좀 더 진전된 합의를 이끌어내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