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기술의 진화에 맞춰 산업 현장의 변화도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주요 대기업의 무인 자동화 과정에서 호흡을 맞추며 쌓은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중견·중소기업의 산업현장, 더 나아가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겠습니다.”
김정하(49·사진) 티라유텍 대표는 20일 논현동 본사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국내외적으로 스마트공장 확산 추세에 맞춰 자동화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만큼 국내 초우량 기업들을 만족시킨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이 원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올해 매출 230억원과 영업이익 20억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 회사는 수요 예측 및 생산계획 솔루션, 생산 관리 및 제조 운영 솔루션, 공장 및 장비 자동화 솔루션 등 공장자동화에 필요한 제반 솔루션을 개발, 공급하고 있다. 단국대 전산학과를 나온 김 대표는 반도체소프트웨어 전문업체인 한연테크에서 사회 생활을 시작했다. 미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기업체에서 도입할 때 필요한 기술을 지원하면서 시스템통합(SI) 전반을 익혔고, 에임시스템으로 옮긴 후에는 반도체 생산관리시스템(MES) 기술 개발을 전담했다. 에임시스템은 스마트팩토리 소프트웨어 공장자동화분야 선두업체다.평범한 직장인으로 살던 그가 경영자의 길로 들어선 것은 우연이었다. 에임시스템 내에 MES를 전문으로 맡는 자회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고 MES 경험이 많은 그가 자회사의 운영을 맡게 된 것이다. 티라유텍의 전신인 유테크솔루션의 탄생이었다. 사업 규모가 커지자 아예 그에게 경영을 맡으라는 제안이 왔고, 유테크솔루션 지분을 인수하면서 독립하게 됐다.
김 대표는 “SI 시장 자체가 워낙 경쟁이 치열한 만큼 살아남기 위해선 우리 브랜드로, 대기업을 타깃으로 사업을 해야 한다고 판단했다”면서 “당시 기업들이 요구하는 사양을 최적화한 ‘오픈 MES’를 자체 브랜드로 만드는 한편 국내 정보기술(IT) 대기업들의 일감을 따내며 업계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고 회고했다. 지난 2016년에는 공급망관리솔루션(SCM) 전문기업인 티라S&C의 경영권을 인수하며 사명도 티라유텍으로 바꿨다.
김 대표는 “유테크솔루션이 생산관리, 설비제어, 물류제어 등 스마트팩토리사업부와 플랫폼사업부, 사물인터넷(loT)사업부를 포괄하고 있지만 이는 스마트팩토리를 전체로 봤을 때 ‘몸통’ 부분에 해당된다”면서 “티라S&C가 보유한 작업계획, 생산계획, 공급계획, 판매계획 등을 포괄하는 SCM사업부라는 머리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티라유텍은 머리와 몸통의 결합에서 더 나아가 팔, 다리를 붙이는 작업에 돌입했다. 바로 무인 자동화를 고도화하는 단계인 물류로봇의 도입이다. 이미 개발을 완료, 하반기부터 본격 공급할 예정인 물류로봇(AGV)은 현장에서 사람이 들어 올리기 힘든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옮기는 역할을 맡는다. 직경 1m 크기의 로봇 하나가 들어 올리는 하중은 400㎏에 달한다. 웬만한 지게차보다 쓰임새가 더 높은 것이다. 다만, 현재는 바코드 인식을 통해서만 이동하는 만큼 추가적인 기술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 현장 가운데 자동화 시스템이 가장 고도화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 기술을 적용했던 만큼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전자부품이나 태양광, 2차 전지 공장으로도 영역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지멘스의 암베르그 공장이 대표적인 스마트공장 성공사례로 소개되고 있지만 이곳 역시 무인자동화 비율이 70% 정도로 알려져 있다”며 “반도체는 공정 특성상 100% 자동화될 수 밖에 없고, 전자부품이나 태양광 등 조립 공장은 70%가 현재의 기술에서 도달할 수 있는 이상적인 수준”이라고 말했다. 티라유텍은 무인 자동화 수요가 늘어나는 전자부품 시장을 적극 공략하는 한편 중견·중소기업의 자동화 시장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다만 현재의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은 초보 단계의 자동화인 만큼 이를 고도화하는 단계에서 티라유텍의 기술력을 십분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김 대표는 “정부의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 보급을 목표로 내세우며 정부지원사업으로 추진하자 기존에 20여곳 수준이던 관련 업체들이 130곳으로 급증했다”면서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는 데 지원하는 것도 좋지만 그보다는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는 데도 지원이 이뤄져야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고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