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미래 전쟁이 발발하면 전투기나 함정·차량에서 고출력 레이저를 쏴 미사일·로켓·드론 등을 요격하거나 전자기펄스(EMP)로 작동불능 상태로 만들려고 한다.
육·해·공은 물론 사이버·우주전까지 5차원 전쟁이 벌어지면 적의 핵심 표적과 주요 시설을 일시에 무력화하거나 방어하기 위한요격(무인폭격기·고출력 EMP 등)·방호(초고해상도 레이더·고출력 레이저 무기 등) 체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중국이나 러시아·일본·독일·이스라엘·영국 등도 EMP탄과 레이저 등 신개념 무기를 활용한 방공체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도 레일건(전기에너지로 탄환 발사하는 포)이나 레이저 무기, EMP 등 에너지 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레일건은 우리나라가 장기간 투자해온 가속기 기술과 원리가 같다. 다만 레이저 무기나 EMP 분야는 선진국에 비해 적잖이 뒤처져 있다. 국방기술품질원에 따르면 미국 등 선진국이 100이라면 국내 고에너지 레이저 기술과 고출력 전자파 기술은 각각 67과 69에 그친다.
미래 전장을 위한 초연결통신 기술도 필요하다. 감시정찰과 지휘통제 체계에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공유와 분석이 핵심이다. 사람과 사물이 안전하고 긴밀히 연결돼 데이터를 공유하고 소통하도록 클라우드·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네트워킹이 이뤄져야 한다. 복합적이고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사이버 방호체계로 가야 한다. 군 주요 통신망 보호를 위한 양자통신 시스템도 개발해야 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관계자는 “미국은 사이버 안전과 클라우드컴퓨팅. 모바일 장비 활용 등 네트워크 중심의 작전환경 개념을 선도하고 있다”며 “중국 역시 사이버전 역량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고 일본은 양자컴퓨터로도 해독이 어려운 새 암호방식을 올 초 개발하기도 했다”고 소개했다.
저출산 등 병력감소 추세에서 미래 국방력 확보를 위해 무인이동체(전투기·드론·탱크·함정)와 군용로봇 등을 활용한 전투력 극대화 방안이 요구된다. 윤리적 문제로 전투로봇 등을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지만 주요 군사강국은 정찰·공격용 드론과 탄약·무기 수송용 로봇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관계자는 “미래에는 우주·공중·육상·수상·수중까지 무인체를 중심으로 전쟁이 벌어질 것”이라며 “적은 병력으로도 효율적인 작전수행이 가능하도록 무인이동체 고도화 기술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초소형 드론 등 다양한 신무기 체계 도입과 정확도 향상, 급변하는 전장상황 파악을 위해서는 센싱 기술이 필수적이다. 미국은 글로벌호크를 통해 2011년 폭발한 후쿠시마 원전 주변 방사성물질 누출을 감시했고, 드론에 화학 센서를 탑재해 화학무기 감지에도 나서고 있다. KIST 관계자는 “적이 원전이나 화생방 공격을 시도하고 악천후를 틈타 도발할 경우에 대비해 드론탑재형 고감도 탐지센서와 극한 환경에서도 복합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무인감시정찰 시스템은 물론 다양한 무인자율전투 체계를 구축하고 각종 센싱기술로 수집한 대량 전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 의사결정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AI 기술을 뛰어넘는 초지능 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측은 “과기정통부와 국방부·방위사업청이 함께 ‘과학기술 기반 미래국방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앞으로 과제별로 정부출연 연구기관, 대학 등을 선정할 것”이라며 “출연연과 대학 등을 조정하는 컨트롤타워 격인 ‘미래국방연구협력센터’도 설치하고 프로젝트별 민군 합동사업단도 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미래기술 예측, 기술조사·기획·평가 등을 전담하는 ‘국방기술기획평가원’도 신설하기로 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