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초중고 5만명 "학교폭력 피해 경험"…초등생·사이버 폭력 심각

48.5% “가해자는 같은 학교 같은 반”…목격자 30.5% “모른척했다”

학폭위 심의 작년 3만993건, 32.1% 증가…초등학교는 50.5% 증가

초등학생 학교폭력이 작년 대비 1만3,000명 증가했다./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초등학생 학교폭력이 작년 대비 1만3,000명 증가했다./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



학교폭력을 당했다는 학생이 교육부가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시작한 2012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했다.

교육부는 ‘2018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지난 5월 온라인으로 이뤄진 이번 실태조사에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전체 학생의 93.5%인 399만여명이 참여했다. 이번 조사에서 “작년 2학기부터 지금까지 학교폭력 피해를 본 적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학생은 전체의 1.3%인 5만여명이었다. 이는 지난해 1차 조사(0.89%·3만7,000여명)에 견줘 0.4%포인트, 1만3,000명 늘어난 수치다.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첫 조사인 2012년 1차 때 12.29%를 기록한 후 2013년 1차 2.25%, 2014년 1차 1.37%, 2015년 1차 0.99%, 2016년 1차 0.90% 등 꾸준한 감소 추세였다. 올해는 특히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이 높아졌다. 고등학생과 중학생 피해 응답률은 각각 0.4%와 0.7%로 작년 대비 0.1%포인트와 0.2%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초등학생은 2.8%로 0.7%포인트나 올랐다.

실제 각 학교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학폭위)에 회부되는 학교폭력 사안도 늘어났다. 2017학년도 각 학교 학폭위 심의 건수는 3만993건으로 전 학년도(2만3,466건)보다 32.1%(7,527건) 증가했다. 특히 초등학교 학폭위 심의 건수가 4,092건에서 6,159건으로 50.5%(2,067건)나 증가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각각 각각 1만1,775건과 7,599건에서 1만5,576건과 9,258건으로 32.3%(3,801건)와 21.8%(1,659건) 늘었다.


교육부는 “학교폭력이 여전히 심각하다는 증거”라면서도 “작년 말부터 언론에 학교폭력 사건이 잇따라 보도되고 예방 교육도 강화되면서 학교폭력에 대한 민감성이 커진 것도 피해 응답률 증가의 한 원인”이라고 해석했다.

관련기사



이번 학교폭력 실태조사에서 학교폭력 피해유형 응답은 언어폭력을 당했다는 비율이 34.7%로 가장 높았고 이어 집단따돌림(17.2%), 스토킹(11.8%), 사이버 괴롭힘(10.8%), 신체 폭행(10.0%) 등이 뒤를 이었다. 성추행·성폭행은 5.2%를 차지했다. 가해자는 ‘같은 학교 같은 반’이라는 응답이 48.5%로 최다였고 ‘같은 학교 같은 학년’(29.9%), ‘같은 학교 다른 학년’(7.1%), ‘다른 학교’(3.5%) 순이었다. 학교폭력 피해 장소는 교실(29.4%)과 복도(14.1%) 등 ‘학교 안’이라는 응답이 66.8%로 놀이터(6.3%)와 사이버공간(5.7%) 등 ‘학교 밖’(26.6%)보다 많았다. 피해를 본 시간은 쉬는시간(32.8%), 점심시간(17.5%), 하교 후(15.0%), 수업시간(8.5%), 하교 시간(7.0%) 등의 빈도였다.

피해를 주변에 알리거나 신고했다는 응답은 80.9%로 전년보다 2.1%포인트 늘어났다. 보호자 등 가족에게 알렸다는 응답이 44.5%로 최다였고 이어 교사(19.3%), 친구·선배(11.4%) 순이었다. 신고하지 않았다는 응답은 19.1%였는데 이유는 ‘별일 아니라고 생각해서’(23.9%)가 가장 많았고 ‘더 괴롭힘을 당할 것 같아서’(17.8%)가 그 다음이었다. 학교폭력을 목격한 적 있다는 학생은 전체의 3.4%(13만3,000명)였다. 이들 중 34.4%는 “피해를 받은 친구를 위로하고 도와줬다”고 했고 19.0%는 “가해자를 말렸다”, 14.8%는 “가족·선생님·경찰에 신고했다”고 응답했다.

같이 폭력에 가담했다는 이는 1.2%, 모른 척했다는 이는 전년보다 10.2%포인트나 늘어난 30.5%여서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자신이 학교폭력 가해자였다는 학생은 전체의 0.3%(1만3,000명)였다. 폭력을 행사한 이유는 ‘먼저 괴롭혀서’가 26.2%로 최다였고 ‘장난’(20.5%)과 ‘마음에 들지 않아서’(13.9%) 등이 뒤를 이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10.6%)와 ‘다른 친구가 하니까’(8.1%) 등의 이유도 발견됐다.

교육부는 이번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등을 반영해 오는 31일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학교 안팎 청소년폭력 예방 보완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 9월 말 예정된 2차 실태조사부터 표본조사를 도입하는 등 조사체계를 개편·보완할 계획이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