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5060 일자리' 만든다…신중년 고용하면 고용장려금 지급

기존 2,000명에서 5,000명으로 대상 확대…내년 예산 2배로 증액

27일 오전 서울의 한 고용·복지센터 실업인정신청 창구에 중년 구직자들이 실업급여를 신청하고 있다. /연합뉴스27일 오전 서울의 한 고용·복지센터 실업인정신청 창구에 중년 구직자들이 실업급여를 신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만50세 이상 구직자를 특정 직무에 채용하는 중소·중견기업을 정부가 지원하는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 제도 대상을 확대한다.

고용노동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신중년 일자리 확충 방안’을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15차 경제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5060 세대’라고도 불리는 신중년은 50세를 전후로 퇴직해 재취업 등을 하며 노동시장 은퇴를 준비하는 과도기 세대를 의미한다. 작년 기준으로 ‘신중년’은 1,378만명으로, 생산가능인구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부터 시행 중인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 사업은 50세 이상 구직자를 신중년 적합직무에 채용하는 중소기업에 1인당 월 80만원, 중견기업에는 월 40만원을 1년간 지원한다.


노동부는 “현장 수요를 고려해 금년 지원 규모를 2,000명에서 3,000명으로 늘리고 내년에는 5,000명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에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으로 소요될 예산은 274억원으로 노동부는 추산하고 있다. 노동부는 지원 대상 신중년 적합직무를 경영·진단 전문가, 안전관리 컨설턴트 등 기존 55개에 박물관 해설사, 출판 전문가 등 29개를 추가했다.

관련기사



신중년이 지역 사회에 필요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신중년 경력 활용 지역서비스 일자리 사업’도 신설했다. 금융권 퇴직자가 지역평생교육센터에서 노후재무설계 교육을 하는 등 지역서비스를 하게 하는 것으로, 내년 지원 대상은 2,500명이고 소요되는 예산은 80억원이다.

노동부는 기존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사업’ 규모도 100억원 증액하고 이를 신중년 사업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지역아동센터 학습지도, 장애인 시설 봉사, 다함께돌봄 시설 등·하교 지원 등 신중년을 위한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도 내년에 741억원을 들여 2만명 규모로 확충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노동부는 한국기술교육대학에 500명 규모의 ‘신중년 특화 훈련교사 양성’ 과정을 개설해 신중년이 직업훈련교사 자격을 취득해 직업훈련기관에 취업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신중년 일자리사업이 대폭 확대됨에 따라 예산은 올해 1,267억원에서 내년에는 2,406억원으로 약 2배 수준으로 늘어난다. 노동부는 신중년 일자리 확충 방안의 시행으로 내년에 2만5,216명의 일자리가 추가 창출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