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백브리핑] 대만, 이르면 내년부터 영어도 공식언어로 사용

차이잉원(가운데) 대만 총통/타이페이=로이터연합뉴스차이잉원(가운데) 대만 총통/타이페이=로이터연합뉴스



이르면 내년부터 대만이 중국어와 영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라이칭더 대만 행정원장(국무총리)은 27일 “내년에 ‘2개 국어 국가’ 정책을 확정해 대만을 중국어와 영어의 2개 국어 국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대만에서 영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한다는 아이디어는 지난 2002년 처음 제시됐다. 당시 천수이볜 총통이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승인을 받기 위해 먼저 화두를 던졌지만 실제로 실행되지는 않았다.

라이 행정원장은 제2기 타이난 시장 시절인 지난 2015년 영어를 두 번째 공식 언어로 만들기 위한 ‘10년 프로젝트’를 시행한 경험이 있다. 현재 타이난시는 오는 2025년을 목표시한으로 삼아 초등학교 2학년부터 영어교육을 시작하는 것은 물론 일부 과목의 영어수업도 추진하고 있다.

라이 원장은 “아직은 2개 국어 국가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법률이 부재한 상황”이라며 “일반 대중의 합의와 홍보 등 많은 부분에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백브리핑


■대만, 2개국어 추진 이유는


국제경쟁력·인지도 제고 가능



반대여론 많아 실현은 불투명

대만이 영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하려는 이유는 뒤처지는 국제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타이베이타임스는 “영어는 국제통상 및 상업을 위한 공통언어이기 때문에 실력을 끌어올려야 한다”며 “정부의 남방정책에 따라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파트너십을 촉진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7월 대만공업총회(경제인연합회)는 ‘2018공업총회백서’에서 “정부가 영어화운동을 추진해 대만의 국제화와 인지도를 향상시키기 바란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타이베이실천대의 첸차오밍 교수는 “대만은 일본처럼 큰 내수시장의 이점이 없으므로 영어로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만 인구는 2,353만명으로 일본 인구(1억2,718만명)의 6분의1에 불과하다.

다만 영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데 대한 반대 여론도 커 최종 실행 여부는 불투명하다. 현지언론인 포커스타이완은 “영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기 위해 정부 문서를 영어로 번역하는 인력과 예산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중소기업이 직원의 영어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인센티브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