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어르신 카드'로 삑, 교통카드 부정사용 서울서만 8.7억

노인우대용 카드로 부정승차

손실금액 5년새 3.3배 급증

서울시,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게이트통과때 LED색 구분도

65세 이상 노인이 무료로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사용 금액이 지난해 서울에서만 8억7,0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노인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 사용 건수가 2012년 6,160건에서 지난해 2만30건으로 5년 새 3.3배로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부정사용으로 인한 손실액은 2012년 2억3,000만원, 2015년 6억1,000만원, 지난해 8억7,000만원 등으로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전체 부정승차 손실액의 44%를 노인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 사용이 차지했다.


교통카드 부정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서울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선하기로 했다. 지하철역 게이트 통과 때 부정승차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청소년권은 파란색, 어린이권은 녹색, 경로권은 빨간색, 장애인·유공자권은 황색 등 이용자 유형별로 표시되는 LED 색깔을 다르게 했다.



부정승차 의심 교통카드가 단말기에 태그되면 자동으로 역무원 모니터에 알림이 떠 현장에서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지인 몫까지 대신 찍어주는 것을 막기 위해 같은 역에서 1시간 이내 반복 사용 때는 4회 째부터 카드 인식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서울시는 경각심을 높이는 차원에서 어르신 우대용 교통카드 발급 대상자 전원에게 안내문을 보내 이용 유의 사항을 고지하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어르신 우대용 교통카드를 타인에게 대여·양도할 경우 1년간 사용 및 재발급이 불가능하다”며 “다음 달부터는 부정승차 특별단속반을 꾸려 서울 내 전 역사에서 불시 단속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