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고객님, 다시 찾아주셨네요"... 단골까지 챙기는 AI로봇 '브니'

세븐일레븐 3번째 디지털프로젝트

안면인식 탑재...맞춤형 접객 가능

핸드페이로 손만 얹으면 결제완료

28일 오전 서울 롯데월드타워 세븐일레븐 시그니처점에서 모델이 세계 최초 핸드페이를 탑재한 인공지능(AI) 결제로봇 ‘브니(VENY)’를 이용한 결제를 시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28일 오전 서울 롯데월드타워 세븐일레븐 시그니처점에서 모델이 세계 최초 핸드페이를 탑재한 인공지능(AI) 결제로봇 ‘브니(VENY)’를 이용한 결제를 시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고객이 매장에 들어서자 결제로봇 ‘브니’에 부착된 카메라가 바로 고객 움직임을 인식한다. 고객이 물건을 결제하는 동안 브니는 얼굴을 인식하고, 앞에 물건을 얹으면 바로 계산이 시작된다. 로봇 손바닥에 손을 얹으니 손목 정맥을 인식하며 ‘핸드페이’로 결제가 완료됐다. 로봇과 인간이 손을 맞잡고 감성을 교류하는 듯한 느낌. 잠시 후 같은 매장에 다시 들어가 로봇 앞에 서니 “고객님, 다시 찾아주셨군요”하고 아는 체한다. 인공지능(AI) 결제로봇 ‘브니(VENY)’가 설치된 매장에서 만나게 될 모습이다.

편의점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코리아세븐은 28일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브니’를 공개했다. 지난해 오픈한 무인편의점 ‘시그니처’와 최근 첫선을 보인 자판기형 편의점 ‘익스프레스’에 이은 세 번째 디지털 프로젝트다.


세븐일레븐 측은 “AI 커뮤니케이션 기반 고차원의 접객 서비스로, 고객에게 보다 재미있고 편리한 쇼핑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브니가 기본 접객 서비스 및 결제를 맡는 동안 점포 근무자는 관리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세븐일레븐은 브니에 일곱 가지 핵심 기능을 탑재해 소비자와의 접점을 늘려 서비스의 완성도를 높였다고 전했다. 우선 AI 학습을 기반으로 1,000여 가지 시나리오를 탑재, 고객과의 대화가 가능하다. 안면인식 기능을 넣어 고객의 얼굴을 기억함으로써 재방문 시 맞춤형 접객 서비스도 가능해졌다. 앞으로 이에 기반한 맞춤형 프로모션까지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또 이미지·모션 센서로 고객의 움직임을 살필 수 있으며, 고객이 매장에 들어오면 바로 접객 인사를 한다.

결제 수단은 핸드페이를 비롯해 신용카드·교통카드·엘페이 등을 다양하게 지원한다. 특히 로봇의 손바닥에 결제장비를 달아, 결제할 때 사람과 로봇이 손잡는 모습을 연출했다. 정승인 코리아세븐 대표는 “사람과 대면하지 않는 삭막한 무인 매장에서 로봇과 인간이 감성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자는 의도”라고 말했다.

또 일반 점포의 POS 시스템을 그대로 옮겨와, 바코드만 있으면 별도 등록 없이도 모든 상품의 판매가 가능하다. 다만 주류는 상품을 인식하면 관리자가 나와서 신분을 확인한 다음 결제가 이뤄지도록 했다. 자가진단 기능도 갖춰 기능을 자체 점검할 수 있다.

세븐일레븐은 브니를 시그니처 점포 2곳에 우선 설치하고, 순차적으로 일반 점포에도 적용할 예정이다. 정 대표는 “브니는 세븐일레븐 디지털 혁명의 상징이자 마스코트가 될 것”이라며 “IT 기술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사업 모델을 구축해 가맹점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븐일레븐이 공개한 ‘브니’ 이미지세븐일레븐이 공개한 ‘브니’ 이미지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