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남측 지뢰지대 여의도의 40배…인력 총동원해도 200년 걸려

육군 "DMZ 평화적 이용에 대비한 지뢰제거작전센터 필요"

"지뢰제거 안전 위해 무인 지뢰제거·드론 신기술 도입해야"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



군사분계선(MDL) 남쪽에 있는 지뢰지대가 여의도 면적의 40배에 달해 지뢰를 완전히 제거하는 데에 200여년이 걸릴 것으로 군 관계자가 추정했다.


육군 관계자는 4일 기자 “비무장지대(DMZ) 군사분계선 남측지역과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북측 및 남측의 전체 지뢰지대는 여의도 면적의 40배 정도 된다”며 “전방사단의 11개 공병대대를 총동원해도 지뢰제거에 약 200년이 걸린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DMZ 평화적 이용과 관련한 남북 공동사업의 본격화에 대비해 육군본부 내 ‘지뢰제거작전센터’(가칭)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육군이 구상하는 지뢰제거작전센터는 국방부와 연계해 지뢰제거 관련 계획을 세우고 임무를 수행하는 전담조직으로 지뢰가 많이 매설된 캄보디아와 태국, 크로아티아 등에도 설치돼 있다. 육군은 과거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 경의선과 동해선 남북 철도 연결사업을 위해 DMZ 지뢰제거 작전을 벌인 바 있다.

육군의 다른 관계자는 “지뢰를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무인 원격 지뢰제거 체계를 도입하고, 드론을 활용한 신기술도 활용해야 한다”며 “개발 중인 장애물개척전차의 조기 전력화와 투입되는 건설장비의 방탄화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