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상도유치원 붕괴, 5개월 전 붕괴 징후 발견 “연이은 항의에도 괜찮다고”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서울 동작구 다세대주택 공사장의 흙막이가 무너져 인근 상도유치원 건물이 기울어지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현장의 붕괴 위험성이 수개월 전부터 지적됐다는 전문가 주장이 나왔다.

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수곤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약 5개월 전 서울상도유치원의 의뢰를 받아 3월 31일에 현장점검을 진행한 뒤 붕괴 가능성을 지적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당시 유치원 측에서 먼저 의뢰가 있었다”며 “정확히 어떤 내용인지 기억이 확실하지 않지만 균열이 간다든지 어떤 붕괴 징후가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현장을 나가 지질을 보니 편마암 단층이 한쪽으로 쏠려 위험해 보였다. 보강 공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붕괴 우려가 있다는 리포트를 유치원에 써 줬다”고 말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공사장 흙막이가 무너진 가산동 공사장 역시 편마암 지대이며 편마암 지대는 붕괴에 취약하다. 그는 이번 붕괴 사고의 근본적 원인이 지질의 특성을 무시한 공사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붕괴 위험성을 지적한 후 일부 보강이 이뤄졌겠지만 제대로 된 보강 공사가 이뤄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미 붕괴가 예견됐음에도 적절한 조처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 문제다”라고 설명했다.



또 “설계도면을 보면 단층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다”며 “지질 조사가 듬성듬성 이뤄진 것도 문제다. 편마암 지질은 10m 간격으로 시추공을 뜯어 단층의 방향을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굴착 면의 방향과 단층면의 방향이 같으면 붕괴 위험이 커진다”며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굴착 면 위로 시멘트를 치고 사이에 철근을 넣는데 이 철근이 짧거나 부족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달부터는 유치원에서 균열이 심하게 발생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날 오전 조희연 서울시교육감과 함께 사고 현장을 방문한 유치원 관계자는 “유치원 바닥에 30~40mm 크기의 균열이 발생했었다. 지속적인 항의에도 감리사 측이 괜찮다고 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6일 서울 동작구청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밤 11시 22분쯤 상도동의 49세대 규모 공동주택 공사장 흙막이가 붕괴하면서 축대가 부러져 지반 침하(땅 꺼짐)이 발생했다. 지반이 내려앉으면서 공사장 인근에 있던 4층짜리 상도초 병설 유치원도 기울었다.

이정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