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현대인의 감기' 우울증 68만명, 여성이 남성의 2배↑




마음의 병이자 현대사회 감기로 불리는 우울증을 앓는 환자들이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여성 우울증 환자가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우울증 진료 환자는 2012년 58만 8,000명에서 2017년 68만 1,000명으로 지난 5년간 15.8% 증가했다.






남성은 2012년 18만 2,000명에서 2017년 22만 6,000명으로 24.0% 늘었고 여성은 2012년 40만 6,000명에서 2017년 45만 5,000명으로 12.1% 증가했다.

동기간 비교했을 때 남성 환자 증가 폭이 크지만 지난 5년간 누적된 여성 환자는 남성의 2.1배로 많았다.

박재섭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여성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여성은 월경, 출산, 폐경 등으로 인해 호르몬 변화가 커질 때 감정의 흔들림을 경험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중년기 여성들이 폐경 전후에 겪게 되는 호르몬 변화가 우울증과 관련이 크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또한 “육아·가사·직장생활의 병행, 시부모와의 갈등, 남성 중심적인 사회 분위기로 인한 스트레스도 여성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다른 한편으로 남성은 우울감 표현을 꺼리거나 음주 등을 통해 우울증을 감추고 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인구 10만명당 진료 인원을 살펴보면 2014년 1,163명, 2015년 1,197명, 2016년 1,267명, 2017년 1,336명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지난해를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연령별·성별로 분석한 환자 데이터를 살펴보면 70대 여성이 4,303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60대 여성 3,035명, 70대 이상 남성 2,670명, 50대 여성 1,955명 순이었다.

박 교수는 “경제력 상실, 신체기능 저하, 각종 내외과적 질환, 사별과 같은 생활사건 등이 노인 우울증의 원인”이라며 “가족 제도 변화에 따른 독거노인의 증가, 가족 갈등의 증가,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나 편견이 늘어나는 사회 분위기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우울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증상이 악화돼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게 어려워 질 수도 있다. 우울 증상이 오랜 기간 지속될 경우 점차 대인관계를 멀리해 사회적으로 고립되거나 직장에서의 업무 수행능력이나 학교 성적이 떨어지는 등의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