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한국, 양자암호통신 표준화 방향 일정 부분 주도권 쥔다

ITU, ‘SKT 주도’ 양자암호통신 표준화 과제 채택

7월에는 KT 중심 네트워크 프레임워크 과제 선정

국제회의에서 지난 7월 KT가 제안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프레임워크가 표준화 과제로 선정된데 이어 최근 SK텔레콤이 제안한 양자암호통신 보안 표준화 과제도 채택됐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양자암호통신의 제반 표준화 방향에서 일정 부분 주도권을 확보하게 될지 관심이다.


국립전파연구원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7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SG17(의장 염흥열 순천향대 교수) 국제회의에서 SK텔레콤이 주도한 양자암호통신 보안 관련 신규 표준화 과제 2건이 채택됐다고 10일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가 글로벌 표준에 국내 연구 결과와 기술을 대거 반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관련기사



ITU-T는 전기통신 관련 기술·운용·요금을 연구하고 국제 표준화 제정을 위한 권고 역할을 하고 있으며, SG17은 인터넷을 포함한 통신 영역 전반의 정보보호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다. 이번에 채택된 과제는 양자키를 분배하고 데이터 암호화 등 보안기술을 적용하는 방식을 정의한 ‘통신망에서 양자키 분배를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와 양자 키의 보안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난수발생기의 보안구조에 대한 표준화 연구를 위한 ‘양자 난수발생기 보안구조’다. 과제 책임자로는 곽승환 SK텔레콤 랩장이 선임됐다.

지난 7월 SG13 (미래 네트워크) 회의에서는 KT를 중심으로 한 한국대표단이 제안한 양자암호통신용 서비스, 네트워크 구조, 인터페이스를 위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프레임워크가 신규 표준화 과제로 채택됐었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