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국 교사 급여 15년차부터 OECD 평균보다 더 받는다

■OECD 2018교육지표 공개

학급당 학생수 OECD평균 웃돌아

성인 고등교육 이수율 48% '최고'

한국 교사의 급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 비교해 초봉이 낮은 대신 연차가 쌓일수록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1인당 또는 학급당 학생 수는 감소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OECD 평균보다 높았다.


11일 발표된 ‘OECD 교육지표 2018’에 따르면 지난 2017년 기준 한국의 국공립학교 초임 교사의 법정 급여는 초등학교 3,428만원, 중학교 3,435만원, 고등학교 3,354만원으로 나타났다. OECD 평균은 각각 3,638만원, 3,778만원, 3,941만원에 달했다. 하지만 15년차 교사의 법정 급여에서는 역전 현상이 나타났다. 한국의 15년차 초중고 교사의 급여는 각각 6,024만원, 6,030만원, 5,949만원으로 OECD 평균(5,076만원, 5,276만원, 5,493만원)보다 많았다. 호봉이 높아질수록 차이는 더 커졌다.

관련기사



한국의 교사 1인당·학급당 학생 수(2016년 기준)는 모두 줄었다.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16.5명, 중학교 14.7명, 고등학교 13.8명으로 OECD 평균(초 15.0명, 중 12.7명, 고 13.0명)보다 높았다. 학급당 학생 수로도 같은 해 기준 한국은 초등학교 23.2명, 중학교 28.4명으로 OECD 평균(초 21.3명, 중 22.9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육계 일각에서는 이 같은 이유로 학령인구 감소 속에서도 교사 임용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한국 성인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2017년 25∼64세 성인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48%로 전년보다 1%포인트 올랐으며 OECD 평균(38%)보다 크게 높았다. 특히 청년층(25~34세)은 70%로 2008년 조사 이후 OECD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교육부는 ‘OECD 교육지표 2018’ 번역본을 오는 12월 중 발간해 교육통계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공개할 계획이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