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건물 짓다 발견된 종로 600년의 역사...공평도시유적전시관 개관

12일 서울 종로구 센트로폴리스 지하에 개관한 공평도시유적전시관. /연합뉴스12일 서울 종로구 센트로폴리스 지하에 개관한 공평도시유적전시관. /연합뉴스



땅속에 묻혀 있던 조선 초기∼일제 강점기 600년의 역사가 종로 한복판 고층 건물 지하에서 깨어났다. 26층짜리 건물을 짓는 과정에서 발굴된 옛 건물터와 골목길, 1,000점이 넘는 생활 유물이 고스란히 보존됐다.

서울시는 종로구 공평동 센트로폴리스 지하 1층 전체를 ‘공평도시유적전시관’으로 만들어 문을 연다고 12일 밝혔다. 이 곳은 연면적 3,817㎡(1,154평)의 서울 최대 규모 유적 전시관이다.

전시관의 투명한 유리 바닥과 관람 데크를 따라 걸으면 발아래로 16∼17세기 건물터와 골목길을 관람할 수 있다. 각각 다른 형태의 집터 3개를 복원해 조선시대 한양에 어떤 집이 있었는지 체험해볼 수 있다.


‘전동 큰 집’이라는 집터 앞에는 사라진 가옥을 10분의 1 크기로 축소한 모형을 뒀고 ‘골목길 ㅁ자 집’ 터에서는 가상현실(VR) 기기를 쓰고 디지털로 복원된 집 내부를 둘러볼 수 있다. ‘이문안길 작은 집’은 터만 남아 있는 곳에 실제와 같은 크기로 복원한 가옥이다.



조선시대부터 수백년 간 사용된 골목길 42m는 관람객이 실제로 걸어볼 수 있도록 했다. 청동화로, 거울, 일제강점기 담뱃가게 간판 등 당시 생활상을 보여주는 유물 1,000여 점도 만날 수 있으며 인근 청진동 유적에서 발굴된 유물 20점도 함께 전시된다.

공평도시유적전시관의 관람 시간은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이며 관람료는 무료다.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은 휴관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공평도시유적전시관은 도심 재개발 과정에서 개발·보존의 공존을 유도한 첫 사례”라며 “서울시와 민간의 협력으로 도시유적과 기억을 원래 위치에 전면적으로 보존한 도시정책의 선례로 큰 의미를 갖는다”고 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