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 北소장은 아직 미정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청사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청사



4·27 판문점선언의 핵심 합의사항인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14일 문을 가운데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북측 소장이 누구인지 개소 당일 아침까지도 확인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날 “오전 7시30분 현재 북측에서 아직 연락사무소의 소장이 누구인지 우리 측에 통보하지 않았다”면서 “오전 10시30분 시작될 개소식에서 자연스럽게 확인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우리 측 소장은 지난 12일 천해성 통일부 차관이 겸직하기로 발표됐다. 그러나 북측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부위원장 중 한 명이 소장을 맡을 것으로만 알려진 상태로 누구인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개소식이 지난달 중순으로 예정됐다가 수차례 연기 된 것을 고려했을 때, 북측도 소장을 일찌감치 내정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만큼 소장 통보가 늦어지는 상황을 납득하기 힘들다는 시선도 있다.


다른 한편에선 북한이 최근까지 정권수립일(9·9절) 70주년 준비에 매진하느라 연락사무소 개소 준비에 힘을 쏟기 어려웠던 것 아니냐는 주장도 있다.



다만, 북측이 리선권 조평통 위원장을 비롯해 개소식에 참석할 귀빈 명단을 우리 측에 통보했는데 여기에 전종수 등 조평통 부위원장이 2명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이들 중 한 명이 소장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남북 소장은 연락사무소에 상주하지는 않으며, 주 1회 정례회의 등을 계기로 만나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통일부는 지난 12일 배포한 설명자료에서 “연락사무소장은 책임 연락관이자 대북 교섭·협상대표의 기능을 병행하며, 필요시 쌍방 최고책임자의 메시지를 직접 전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메시지를 연락사무소에서 대면 협의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