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나들가게 10곳 중 3곳, 폐업하거나 사업 취소해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실 분석

나들가게의 폐업·취소율이 3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들가게란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청 당시 동네슈퍼의 유통혁신을 위해 2009년 마련한 스마트샵 육성지원사업이다.


17일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실에서 중기부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사업 시행년도인 2010년부터 올해 7월까지 개설된 나들가게 1만1,473개점 중 32.2%에 해당하는 3,696개 점포가 폐업하거나 지정을 취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1년 205곳, 2012년 102곳, 2013년 593곳, 2014년 566곳, 2015년 753곳, 2016년 579곳, 2017년 612곳이 각각 문을 닫거나 취소했다. 올해엔 7월까지 286개의 점포가 나들가게 사업을 그만뒀다. 지역별로는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 중 광주광역시의 나들가게 폐업·취소율이 45.8%(524곳 중 240곳)로 가장 높았고, 대전이 44.6%(325곳 중 145곳)로 그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나들가게 폐업 사유별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총 폐업점포수 3,343개 중 1,058개 해당하는 31.6%가 일반슈퍼 전환을 사유로 폐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타 업종으로의 전환이 27.1%, 편의점 전환이 23.7%를 차지했다. 취소 사유로는 총 취소점포수 353개 중 291개에 해당하는 82.4%가 점주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고, 62개에 해당하는 17.6%가 협약위반 등으로 직권취소된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의원은 “사업시행 이후 지난해까지 나들가게 육성을 위해 총 963.6억 원이 집행됐지만, 나들가게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등의 저조한 사업성과를 보이고 있다”며 “중기부는 나들가게 사업 효과를 재검토할 뿐만 아니라 매출 증대 및 수익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