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평양 정상회담서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전면적 생사확인 합의 가능성

임 비서실장 "이산가족의 고통을 근원적으로 해소하는 방안도 따로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

17일 오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 마련된 남북정상회담 메인 프레스센터에서 임종석 평양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장이 내외신 기자들을 상대로 정상회담의 주요 진행 상황과 세부 일정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17일 오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 마련된 남북정상회담 메인 프레스센터에서 임종석 평양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장이 내외신 기자들을 상대로 정상회담의 주요 진행 상황과 세부 일정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18∼20일 평양 정상회담에서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청와대가 밝히면서 그 내용이 주목된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1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마련된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남북정상회담 의제와 관련, “이산가족의 고통을 근원적으로 해소하는 방안도 따로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남북관계 발전과 비핵화 협의, 군사적 긴장 완화 등 3대 의제를 소개한 뒤 따로 덧붙인 것이어서, 남북 정상이 이산가족 문제에 대해서도 상당한 비중을 두고 논의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읽힌다.


임 실장은 특히 “북쪽도 상당히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해서 더 긍정적인 소식을 들려드릴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언급해 이미 남북이 상당한 의견접근을 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관련기사



그는 구체적인 논의 내용에 대해 “상설면회소는 물론이고 수시상봉, 그리고 전수조사 통한 생사확인, 여러 가지 화상상봉 등 종합적 방법으로, 한 분이라도 더 늦기 전에 이산가족의 생사를 알고 만날 수 있는 조치들을 의논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산가족의 오랜 염원이었던 상봉 정례화와 북한에 있는 가족·친척들의 전면적 생사확인 등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합의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달 말 현재 총 13만2,731명의 이산가족 신청자 중에서 절반이 훌쩍 넘는 7만6,024명이 사망했고, 생존자(5만6,707명) 중 80세 이상이 62.6%(3만5,541명)에 이르는 만큼 이산가족들의 고령화가 심각하다. 이런 상황에서 한 번에 100명 정도씩 만나는 지금의 상봉 방식으로는 이산가족의 한을 풀어주기는 어렵다.

우리는 그간 적십자회담 등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이산가족 문제의 더 근본적인 해소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안했지만,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과거 남북정상회담 때도 이산가족 상봉 문제는 빠지지 않고 다뤄졌는데, 특히 2007년 10·4선언에는 ‘금강산면회소에서의 상시 상봉’이 담기기도 했으나 이 또한 정권이 바뀌면서 추진 동력을 얻지 못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큰 틀의 합의가 이뤄지면 추후 남북 적십자회담을 통해 이를 구체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경서 대한적십자사 회장은 지난달 말 이산가족 행사가 열린 금강산에서 기자들과 만나 9월 중 평양 방문을 북측과 논의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통일부는 북측과 전면적 생사확인에 합의할 때를 대비해 이산가족 전원에게 지난달까지 ‘남북 이산가족 전면적 생사확인’과 ‘고향 방문 및 영상편지 제작’에 참여할지를 묻는 수요 조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