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시그널 초대석]"지배구조 개편땐 주주이익 환원↑...코리아 디스카운트도 해소될 것"

강성부 KCGI 대표

한국 10년동안 배당 수익률

필리핀·방글라데시만도 못해

스튜어드십코드, 변곡점 전망

강성부 KCGI 대표강성부 KCGI 대표



“북한 리스크 때문에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이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나라 주가수익비율(PER)이 8.7배가량인데 미국은 17배나 됩니다. 이익이 나도 배당을 안 하는 기업에 누가 투자를 하겠습니까.”

17일 서울경제신문 ‘시그널’이 만난 강성부 KCGI(Korea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대표는 “지분의 20%를 채 가지지 않은 오너 일가가 나머지 80%를 좌지우지하는 현상이 전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나라가 우리나라”라며 “오너 일가의 승계를 위한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감 몰아주기, 즉 ‘터널링(tunneling)’ 때문에 지난 10년간 배당 수익률이 필리핀이나 방글라데시만도 못하다”고 꼬집었다. KCGI는 LIG계열 LK투자파트너스를 이끌었던 강 전 대표가 지난 8월에 창업한 기업지배구조 개선 전문 사모투자펀드(PE)다.


강 대표는 “대부분 그룹이 3대로 넘어가고 대주주의 지분율이 감소하면서 생기는 구조적 문제인데 성장이 멈추면서 이런 부작용이 확연히 드러나게 된 것”이라며 “정부가 나서기보다 시장 내 견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하면 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강 대표는 스튜어드십 코드의 도입이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이 대표적 사례다. 2014년 도입 당시 70억달러에 불과했던 일본의 관련 펀드의 규모는 불과 2년 새 4,740억달러까지 몸집을 불렸다. 강 대표는 “앞으로는 어떤 투자든지 간에 환경(environment),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지배구조(cooperate governance) 등을 다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대표는 LK투자파트너스 시절 요진건설과 대원의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투자해 성공을 거둔 바 있다.

강 대표는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이후 시장의 감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고 대기업의 지주회사로의 전환이 일단락되면 주주의 이익 환원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이로 인해 자연스레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도 사라질 것이라는 게 그의 예측이다. 강 대표는 “명분이 행동주의 펀드의 가장 중요한 수단인데 물 건너오면서 투기자본으로 변질됐다”며 “하루 이틀 새 되지는 않겠지만 천천히 (명분을) 쌓아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