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국 164개 모든 특수학교서 '자유학기제' 전면 도입

교육부, 자유학년제도 48개교 적용

中 과정 6학기 중 1학기 자유 운영

연간 1,000~1,500만원 지원

교육부는 중학교 과정을 운영하는 전국 164개 모든 특수학교에서 2학기부터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한다고 18일 밝혔다. 또 지난해 한 곳도 시행하는 곳이 없었던 자유학년제도 올해 48개교에 적용하기로 했다.

특수학교 자유학기제는 개별 맞춤형 소질·적성 계발로 미래생활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장애유형 및 특성, 학교 여건 등을 감안해 중학교 6학기 중 한 학기를 정해 자유학기로 운영하도록 했다. 장애의 정도가 심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이 증가하고 있는 특수학교 상황을 감안해 생활기능 영역과 연계한 자유학기 활동을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수업 내실화를 위해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유학기제 지원단이 학교별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한다. 또 연구학교(13개교) 운영으로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하고 수업자료 개발을 통해 수업을 지원 중이다.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자유학기제 교사 연구회’ 116개가 조직돼 운영되고 있으며 집합·원격 연수 등에 2,244명의 교사들이 참여했다. 전국 52개 거점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장애맞춤체험처·프로그램 발굴 등 미래 진로설계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교육부는 특별교부금으로 관련 예산을 지원한다. 학교별로 연간 평균 자유학기제 1,000만원, 자유학년제 1,50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지역 특색을 살린 자유학기·학년제 지원을 위해 시·도교육청 운영비를 확대 지원한다.

교육부는 2022년까지 기본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모든 특수학교(139)에 자유학년제를 연차적으로 확대하고 2020년 3월부터 특수학교에 전문 자격을 갖춘 진로전담교사를 배치해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설계를 더욱 촘촘히 지원할 계획이다. 정인순 교육부 학생지원국장은 “자유학기?학년제를 경험한 장애학생들이 스스로 주인공이 되는 참여 중심 수업과 진로체험을 통해 숨은 재능과 가능성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