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입국장 면세점, 내년 인천공항에 문 연다…15년 논란 종지부

관광환경 및 주변국 상황 변화로 유보→설치로 방향 전환

중소·중견업체로 운영업체 한정…국내 업계 판도에는 큰 영향 없을 것

정부가 입국장 면세점을 내년 인천공항에 설치하겠다고 27일 발표함에 따라 지난 15년간 이어온 입국장 면세점 설치 논란에 마침표를 찍게 됐다./연합뉴스정부가 입국장 면세점을 내년 인천공항에 설치하겠다고 27일 발표함에 따라 지난 15년간 이어온 입국장 면세점 설치 논란에 마침표를 찍게 됐다./연합뉴스



정부가 입국장 면세점을 내년 인천공항에 설치하겠다고 27일 발표함에 따라 지난 15년간 이어온 입국장 면세점 설치 논란에 마침표를 찍게 됐다.

그동안 ‘국민 편의’와 ‘조세 형평성’ 가운데 어느 것이 더 중요하냐를 두고 정부 내에서도 의견이 분분 했으나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입국장 면세점 도입 검토를 지시하면서 입국장 면세점 설치에 급물살을 타게 됐다. 소비자와 중소 면세사업자들은 입국장 면세점 설치를 환영하고 있으나 입찰에서 배제된 대기업 면세사업자들은 면세업계 판도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면서도 향후 어떤 영향이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입국장 면세점은 해외 여행객이 출국할 때 면세품을 구매해 입국할 때까지 갖고 다녀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공항이나 항만 입국장에 면세점을 두는 것이다. 입국장 면세점 설치는 2003년부터 약 15년간 논란이 된 사안으로 그동안 국회에서 입국장 면세점 설치 법안이 수차례 발의됐으나 모두 처리되지 못하고 폐기됐다. 국민의 다수는 입국장 면세점 도입에 찬성했지만, 정부 일각에서 조세 형평성 등을 내세우며 반대하고 기내 면세점을 운영하는 대형항공사와 출국장 면세점 운영 대기업 등이 반발하면서 도입되지 못했다. 관세청 등은 그동안 입국장 면세점이 ▲ 소비지 과세원칙 상충 ▲ 세관 단속기능 약화 ▲ 입국장 혼잡에 따른 불편 증가 ▲ 시내 면세점 조기 정착에 부정적 영향 등을 우려하며 반대해왔다.


하지만 최근 관광환경과 주변국 상황 변화로 정부는 입국장 면세점 유보 입장에서 설치로 방향을 틀었다. 해외 여행객 수가 지난 10년간 매년 7.1% 이상 늘고 방한 외국인 관광객도 최근 다시 증가하면서 입국장 면세점을 설치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진 것이다. 경쟁 해외 공항에서 입국 면세점을 도입하고 있는 점도 촉매제 역할을 했다. 정부에 따르면 전 세계 88개국(333개 공항) 중 73개국(149개 공항)에서 여행객의 편의를 위해 입국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다. 일본이 지난해 4월 입국장 면세점을 최초로 도입했고, 중국도 2008년 최초 허용한 뒤 2016년 19개 입국장 면세점을 추가 허용했다.

관련기사



입국장 면세점이 도입되면 여행을 마친 후 입국하면서 면세품을 사도 되기 때문에 국민의 편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내국인들은 출국할 때만 면세품을 살 수 있어 여행 기간 내내 구매한 면세품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을 겪어왔다. 내국인들의 국내면세점 구매액이 2010년 18억8,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28억6,000만 달러로 급증하면서 이러한 불편함은 가중돼왔다. 기획재정부와 관세청이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7월 31일부터 8월 17일까지 의견조사에 나선 결과, 응답자의 81.2%가 여행 불편 해소 등을 이유로 입국장 면세점에 찬성했다. 응답자들은 입국장 면세점의 판매 희망품목에 대해 화장품·향수(62.5%), 패션·잡화(45.9%), 주류(45.5%), 가방·지갑(45.4%) 순으로 꼽았다.

정부는 입국장 면세점 도입으로 내국인의 해외 면세점 소비 일부가 감소하고 이를 국내 소비로 전환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외국인 관광객이 우리나라 입국장에서 선물이나 기호품 등을 살 수 있어 외국인의 국내 소비 수요도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밖에 판매 및 물류 등 연관 산업의 추가 일자리 창출이라는 긍정적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정부가 입국장 면세점 운영업체를 중소·중견업체로 한정하겠다고 밝히면서 중소·중견업체는 이를 새로운 사업기회로 여겨 환영하고 있다. 그러나 입국장 면세점 도입이 국내 업계 전체 판도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것이라는게 업계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대기업이 운영하는 면세점들은 가격 경쟁력, 다양한 상품 구색 같은 장점이 있어 기존 고객층이 중소·중견업체가 주도하게 될 입국장 면세점에 잠식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대기업 면세점 관계자는 “입국장 면세점은 면적도 작고, 면세 구매 한도도 600달러로 그대로인 상황이기 때문에 기존 출국장 면세점들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대기업 면세점 관계자는 “중소·중견업체들은 대기업처럼 규모의 경제를 통해 물건을 싸게 팔지 못하기 때문에, 시내 면세점이나 출국장 면세점 수요를 흡수하기보다는 기내 면세점 시장을 잠식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