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신라의 미소'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 보물 된다…기와로는 처음

법주사 괘불도·대련사 비로자나불 괘불도 등 보물 지정예고

‘신라의 미소’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문화재청=연합뉴스‘신라의 미소’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문화재청=연합뉴스



‘신라의 미소’란 이름으로 알려진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가 기와 중 최초로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 군위 법주사 괘불도, 예산 대련사 비로자나불 괘불도,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경선사’명 청동북, 장철 정사공신녹권을 보물로 지정예고한다고 2일 발표했다. 문화재청은 “지금까지 유일하게 알려진 삼국시대 얼굴무늬 수막새이자 높은 예술적 경지를 보여주는 이 작품은 신라의 우수한 와당 기술이 집약된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며 기와가 단독으로 보물로 지정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국립경주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는 일제강점기 경주 영묘사 터(사적 제15호 흥륜사지)에서 출토됐다. 1934년 일본인 다나카 도시노부가 경주 골동품 상점에서 이 수막새를 사들이며 일본으로 넘어갔지만, 박일훈 전 국립경주박물관장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1972년 10월 한국에 반환됐다. 수막새는 추녀나 담장 끝에 기와를 마무리하기 위해 쓰인 둥근 형태의 와당을 뜻한다.

군위 법주사 괘불도/문화재청=연합뉴스군위 법주사 괘불도/문화재청=연합뉴스


문화재청 정밀조사를 통해 새롭게 가치가 알려진 괘불도 3건도 보물지정 예고 대상에 포함됐다. 괘불도는 영산재, 천도재 등 대규모 야외 불교의식을 위해 제작한 대형 불화다. 1714년(숙종 40년) 화승 9명이 그린 군위 법주사 괘불도는 높이 10m의 비단 16폭에 연꽃을 든 입상의 여래를 중앙에 그렸다. 또 1750년 제작된 예산 대련사 비로자나불 괘불도는 비로자나불을 중심에 배치한 오존(五尊) 형식을 취했다. 19세기 이전 조성된 비로자나불 불화는 거의 남아 있지 않고, 오존 구도 또한 예외적이다.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는 영산재에 사용된 불화로, 1788년(정조 12년) 총 22명의 화승이 그렸다.

경선사명 청동북/문화재청=연합뉴스경선사명 청동북/문화재청=연합뉴스


사찰 의례 때 사용된 ‘경선사’명 청동북(삼성문화재단)은 13세기 청동북 중 제조일자가 기입된 희소한 사례이자 독특한 제작기법을 보여준다. 제1차 왕자의 난(1398년) 평정에 공을 세운 장철 중추원부사 에게 하사된 장철 정사공신녹권(천안박물관)도 지금까지 유일하게 보존된 조선 초기 정사공신녹권이며 역사적·국어학적·서지학적으로 매우높은 가치를 가졌다. 문화재청은 30일 예고 기간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들 6개를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보물이란 문화재 분류상의 한 갈래로 분류상 국보 다음 가는 격을 가졌으며 국보급의 문화재가 그 분야, 그 시대를 대표하는 유일무이한 것이라면 보물급에 속하는 문화재는 그와 유사한 문화재로 판단되는 대상들을 국가에서 문화재보호법 제23조에 의거 지정한 것이다. 이는 유형문화재 중에서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가치 등에 대해 문화재 심의 위원회에서 심의를 거쳐 정부가 지정하며 일제강점기 때 ‘조선보물고적명승 천연기념물 보존령’에 의해 지정된 것이 최초이다. 또한 현재 전 세계에서 국보나 보물에 번호가 붙어 있는 나라는 한국과 북한, 일본 등 3개국이다.

관련기사



/노진표 인턴기자 jproh93@sedaily.com

노진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