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광화문 직장인 근무시간 55분 줄고..벤처 밀집 가산동은 되레 5분 늘어

■ 주52시간 3개월…KT·BC카드 빅데이터 분석해보니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 근무하는 KT 직원들이 오후 6시에 퇴근하고 있다./사진제공=KT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 근무하는 KT 직원들이 오후 6시에 퇴근하고 있다./사진제공=KT



주52시간 근무제가 본격 도입된 이후 서울 광화문 일대 직장인들의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평균 55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볼링장, 헬스장 등 여가와 관련된 업종의 매출은 9% 가량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KT와 BC카드는 주52시간 근무제 시행 3개월을 맞아 사람들의 변화된 생활 패턴을 빅데이터로 분석해 2일 발표했다. 두 회사가 지난 8월 1일부터 9월 16일까지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일대의 직장인 일 평균 근무시간을 집계해보니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평균 55분 불었다. KT가 휴대폰과 기지국이 주기적으로 교환하는 신호정보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과다. 또 정보통신(IT)업종 근무자가 많은 성남시 판교의 경우 직장인 하루 평균 근무시간이 전년보다 11.6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52시간 근무제 유예 대상인 금융업계와 중소기업은 영향이 미미했다. 여의도 지역 직장인의 근무시간은 평균 6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300인 이하의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이 많이 위치해 있는 가산디지털단지는 직장인 하루 평균 근무시간이 오히려 5분가량 증가했다.


주52시간 근무제는 직장인의 출퇴근 시간에도 영향을 미쳤다. 광화문 일대 근무하는 직장인의 출근시간이 30분 가량 늦춰졌다. 오전 7시30분에서 8시 사이에 출근하는 광화문 지역 직장인이 지난해에는 26% 안팎이었으나 올해는 15%로 크게 줄었다. 대신 8시30분에서 9시 사이에 출근하는 직장인이 지난해 21%에서 올해 38%로 크게 늘었다. 광화문, 판교, 여의도 등 주요 지역에서 오후 7~8시 퇴근하는 직장인 비율도 31.4%로 지난해보다 7%포인트 늘었다.

관련기사



근무시간 감소는 여가활동 증가로 연결됐다. BC카드가 지난 8월 19일부터 9월 15일까지 가맹점 매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 여가 활동 관련 업종의 매출이 지난해보다 평균 9.2% 늘었다. 서울시 전체에서 가장 많은 여가 활동 매출의 증가 폭을 보인 지역은 동작구로 작년보다 여가 활동 매출이 70.3% 증가했고 강서구(66.3%), 동대문구(42.7%)가 뒤를 이었다. 반면 광화문과 판교 지역 저녁시간 매출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해당 지역의 18시 이후 음식·주류 관련 매출은 최소 10.3%에서 최대 14.7%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 상의 키워드 분석에서도 직장인들의 변화된 생활 모습이 드러난다. KT가 7월 1일부터 9월 16일까지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 주요 SNS에서 언급된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여가’, ‘퇴근’, ‘육아’ 등 업무 시간 외 활동과 관련된 단어들이 상위에 올랐다. 특히 ‘워크 앤 라이프 밸런스(Work and Life Balance·일과 삶의 균형)’의 준말인 ‘워라밸’의 언급량이 2,152회에서 2만1,663회로 작년보다 10배나 늘어 눈길을 끌었다.

윤혜정 KT 빅데이터사업지원단장은 “직장인들의 일 평균 근무시간이 감소하고, 출·퇴근 시간이 ‘나인투식스’(오전9~오후6시)에 맞춰져 가는 등 생활 패턴의 변화가 빅데이터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