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아무리 살기 팍팍해도…교량 이름판까지 뜯어가

가드레일·맨홀 뚜껑 등 철제 공공시설물 절도범죄 다시 고개

도난 당한 교량 이름판./연합뉴스도난 당한 교량 이름판./연합뉴스



경제난으로 생계형 범죄가 늘고 있는 가운데 농촌지역 철제 공공 시설물이 또다시 절도범들의 표적이 되고 있다.

2일 충북 옥천군에 따르면 최근 군서면 증산리 금산천에 놓인 소교량 기둥에 설치됐던 이름판과 설명판 2개가 사라졌다. 둘은 모두 구리로 제작된 것들이다. 콘크리트 기둥에 홈을 파 끼워 맞춘 상태였는데 누군가 도구를 이용해 뜯어낸 흔적이 보였다.


영동군 추풍령면 계룡리 소하천 교량의 이름판도 뜯겨 나갔다. 주민들은 “인적이 뜸한 곳이어서 언제 없어졌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봄까지는 붙어있었다”고 회고했다.

관련기사



인적이 드문 농촌지역에서 교통 시설물이나 맨홀 뚜껑 등을 훔쳐가는 일은 몇 해 전까지 빈번했다. 옥천에서는 산소용접기로 수 십m에 달하는 교량 난간이나 가드레일까지 뜯어간 사건도 있다. 이후 행정당국은 도난을 막기 위해 볼트로 고정하던 교량 난간을 매립형으로 바꾸고, 구리로 만들던 교량 이름판도 돌로 바꾸고 있다. 영동군 관계자는 “3∼4년 전부터 도난 대비를 강화하면서 새로 건설하는 교량 이름판은 돌로 제작하고 있다”며 “그 전에 만들어진 시설물을 노린 절도범이 최근 다시 기승을 부린다”고 지적했다.

구리로 된 교량 이름판은 고물상 등에서 크기에 따라 수만원씩 거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도난당한 시설을 보수하려면 그보다 10배 많은 30만∼50만원의 복구예산이 든다. 영동군 관계자는 “인적이 드문 농촌 시설물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도난 시설을 전수조사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