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주요 손보사에서 야심 차게 출시한 드론보험·이륜차보험·펫보험 등 신상품들의 반응이 뜨뜻미지근한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의 총아로 불리는 드론은 보험업에서 대표적인 미래 먹거리로 꼽힌다. 국내에 신고된 드론은 지난 2013년 193대에서 지난해 3,735대로 5년 새 20배 가까이 급증했지만 정작 관련 보험 가입은 저조한 실정이다. 국내에서 드론보험 시장을 주도한다고 평가받는 KB손해보험의 경우 올해 상반기 가입 대수는 97대를 기록했다. 누적 보험료는 2억3,000만원으로 월 평균 20대 정도가 가입하는 상황이다. 이처럼 관련 시장이 주춤하면서 주요 손보사들 역시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기보다는 상품 이름만 걸어놓은 수준에 그친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현재 6개(메리츠화재·KB손보·DB손보·롯데손보·현대해상·한화손보·MG손보) 손보사가 드론 관련 보험을 취급하고 있지만 영업배상 책임보험의 ‘시설소유관리자배상책임’ 특약으로 인수되는 형태일 뿐 개별 상품은 전무한 실정이다.
KB손보의 한 관계자는 “현재 가입 문의가 매달 30% 가까이 증가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가입 방법을 모르거나 절차가 복잡해 활성화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륜차보험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해 동부화재는 업계 최초로 이륜차 운전자의 자차와 자손을 보장하는 상품을 출시하는 등 이륜차보험은 새로운 수익원으로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금융위원회 역시 지난해 11월 ‘보험사는 위험 가입자가 아니면 공동인수 이륜차보험의 자손과 자차 인수를 의무화하라’는 대책을 발표하는 등 지원사격에 나섰지만 뚜렷한 실적 개선은 없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2016년 92만5,003대를 기록한 이륜차보험 가입 대수는 2017년에는 약 94만3,082대로 증가폭이 미미했다. 올해 역시 5월 기준으로 94만9,905대에 머무는 등 뚜렷한 반등 조짐은 없는 실정이다.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사건 등으로 주목받았던 사이버보험도 기대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사이버보험은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기업 당사자와 제3자에 대한 법적 배상책임과 법률비용 등 방어비용과 함께 사고조사비·위기관리·평판훼손 등을 보장한다. 하지만 국내 사이버보험 시장 규모는 2015년 405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6년 322억원 규모로 줄어드는 등 오히려 하향하는 추세다.
손해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와 올해 역시 사이버보험 시장 규모는 이전 연도와 비슷한 수준”이라며 “1등 암호화폐 거래소마저 해킹 피해를 입는 등 리스크는 상당하지만 보험료는 얼마 되지 않아 시장을 넓히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