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농진청, 출하 기간을 앞당긴‘한우 사육 기술’개발…육질·육량 유지

농촌진흥청은 한우고기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출하 기간을 앞당기고도 맛과 풍미, 육질과 육량을 유지하는 ‘한우 사육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농진청이 개발한 기술은 사육 단계마다 영양소 함량을 정밀 조절하는 것으로 비육 기간이 기존 31개월에서 28개월로 3개월 짧아졌다. 그동안 개량된 한우의 생산 특성을 고려해 육성기(6∼14개월)와 비육기(15∼28개월)에 단백질과 에너지 함량을 조절해준다.

농진청 연구진이 이 기술로 키운 28개월 한우를 도축해 육량과 육질을 분석(도체중 446kg, 근내지방도 5.9)한 결과 우리나라 평균 출하월령인 31.1개월 한우 성적(443.6kg, 5.8)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자 혀와 맛 관련 물질 분석, 전문가 시식 평가에서도 28개월 한우는 단맛, 감칠맛, 풍미 면에서 31개월 한우와 차이가 없었다. 농진청은 이 기술을 특허출원하고, 산업체와 생산자 단체에 이전했다.

관련기사



이 기술을 적용하면 한우 1마리당 생산비를 23만5,000원 정도 줄일 수 있다. 국내 거세 한우 전체에 적용하면 한 해에 약 936억원가량 생산비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

대부분 한우 농가는 마블링(근내지방)이 많은 고기를 생산하기 위해 평균 31개월간 키우는 고비용 사육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입 소고기와 품질을 차별화하는 데는 성공했으나, 생산비 중 사료비 비중이 미국산 소고기보다 1.7배 높다. 우리나라 소고기 자급률은 가격 경쟁과 수입 소고기의 관세 인하 등으로 지난 2013년 50.1%에서 2017년 41%로 떨어졌다.

양창범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장은 “생산비가 줄어들면 소비자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한우고기를 즐길 수 있게 된다”며 “한우고기 품질은 높이고 생산비는 낮추는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