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20대 당뇨·우울증·화병·공황장애 증가, 청년들 건강 '빨간불'

20대 청년세대의 당뇨와 우울증, 화병, 공황장애, 통풍질병 환자 증가율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20대 청년세대의 당뇨와 우울증, 화병, 공황장애, 통풍질병 환자 증가율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



20대 청년들의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광수 의원(민주평화당)이 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대 청년세대의 당뇨와 우울증, 화병(火病), 공황장애, 통풍질병 환자 증가율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아지고 있다. 학업과 취업난, 아르바이트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청년세대의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0대 당뇨 환자 수는 2013년 1만7,359명에서 2014년 1만8,390명, 2015년 1만9,780명, 2016년 2만1,927명, 2017년 2만4,106명 등으로 5년간 38.9% 증가했다. 당뇨 질환의 연령대별 평균 증가율은 23.4%로, 당뇨가 대표적인 노인질환이라는 인식을 깨고 20대가 연령대별 최고 증가율을 보였다.

관련기사



20대 우울증 환자 수 역시 2013년 4만7,721명, 2014년 4만7,879명, 2015년 5만2,275명, 2016년 6만3,436명, 2017년 7만5,602명 등으로 5년간 58.4% 증가해 전체 연령대의 평균 증가율 16.5%의 3.5배에 달했다.

20대 화병 환자 수는 2013년 709명, 2014년 772명, 2015년 843명, 2016년 1,225명, 2017년 1,449명으로 5년간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전체적으로 화병 환자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유독 20대와 10대의 증가율은 100%를 넘어서, 20대 청년과 10대 청소년들이 심각하게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대 공황장애 환자 수도 2013년 7,913명, 2014년 8,434명, 2015년 9,964명, 2016년 1만2,762명, 2017년 1만6,041명 등으로 5년간 두 배로 늘었다. 20대 통풍 환자 수는 2013년 1만3,325명, 2014년 1만4,403명, 2015년 1만5,954명, 2016년 1만8,751명, 2017년 2만1,046명 등으로 58% 늘어 연령대별 최고 증가율을 보였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