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해외 독립운동유적 한글 오류 수정 캠페인 나선 서경덕 교수

서경덕 교수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중국·러시아 등 해외 독립운동 유적지의 전시실 등에 있는 한글 안내판의 잘못된 표기를 수정하는 캠페인을 전개한다.

서 교수는 9일 중국 자싱시에 있는 ‘김구 피난처’를 첫 번째 캠페인 장소로 잡아 한글 안내판 8곳의 잘못된 표기를 바로잡았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취사간’을 ‘주방’으로, ‘욕조(원물)’를 ‘김구가 사용한 욕조’ 등으로 바꿨다.


그는 내년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년을 기념해 중국에 있는 관련 유적지의 한글 표기 오류를 집중적으로 조사하거나 네티즌에게 제보를 받아 올바른 표기로 고쳐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중국 자싱시에 있는 독립운동 유적지 ‘김구피난처’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곳을 해외 독립운동 유적지 안내판 한글 오류 수정 캠페인의 첫 번째 장소로 잡아 한글 안내판 8곳의 잘못된 표기를 바로잡았다./사진제공=서경덕교수중국 자싱시에 있는 독립운동 유적지 ‘김구피난처’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곳을 해외 독립운동 유적지 안내판 한글 오류 수정 캠페인의 첫 번째 장소로 잡아 한글 안내판 8곳의 잘못된 표기를 바로잡았다./사진제공=서경덕교수


서 교수는 “해외 독립운동 유적지에 한글 간판을 기증하는 프로젝트를 오랫동안 진행하면서 내부 전시실을 둘러보다가 잘못된 한글 표기들이 상당수 있어 많이 안타까웠다”고 캠페인 취지를 설명했다.

세종학당재단 이사인 서 교수는 배우 송혜교와 함께 미국 뉴욕 현대미술관, 캐나다 토론토박물관 등 유명 미술관과 박물관에 한글 안내서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전 세계에 한글을 널리 알려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