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학교 보안 강화한다더니…'교내 사진 찍어오라'는 교육청

공모전 저조한 참여율 탈피하려

일반인에 '학교생활' 촬영 과제로

안전장치 없어 무단침입 등 우려

연이은 학교 내 외부인 침입과 ‘몰카’ 사건 등으로 학생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교육청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학생의 학교생활을 촬영하는 사진 공모전을 개최해 논란이 일고 있다.

9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청은 오는 15일부터 서울시 내 초·중·고교생과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2018 서울교육 희망메시지 사진 공모전’을 진행한다. 교육청이 추진하는 미래혁신교육에 대한 정책 홍보를 위해 학생뿐 아니라 전문가가 아닌 일반시민들도 참여하도록 계획됐다.


교육청의 계획대로라면 공모전에 참가하려는 일반인들은 휴대폰이나 카메라를 들고 학교를 찾아가 수업이 진행 중인 학생들을 촬영해야 한다. 교육청은 세부추진계획에서 공모전에 출품할 사진의 촬영지를 ‘서울시 내 학교 또는 학교 인근, 학사일정에 따른 활동지’로 명시했다. 그러면서 “학교생활에서의 일상 모습이 드러나는 작품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하지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사진 공모전은 학교 안전에 위협 요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지난 4월 외부인의 침입으로 인질극이 벌어진 후 외부인의 학교 방문을 엄격하게 제한하는 교육청의 방침과도 상충한다. 공모전 요강 중 교육청에서 사전 승인을 받거나 학교에 협조를 구해야 한다는 등의 규정은 없다. 다만 ‘사회 통념상 활용이 부적절할 경우 심사에서 제외한다’는 조건이 있을 뿐이다. 일반인들이 ‘공모전용 사진 촬영’을 이유로 학교 방문 허가를 받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무단침입이나 초상권 침해, 몰카 등 시비가 빈번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 학부모는 “공모전을 핑계로 수상한 사람들이 아이들에게 접근할 수도 있을 것 같아 불안하다”고 말했다.

교육청이 이런 우려에도 사진 공모전을 진행하는 것은 기존 공모전의 저조한 참여율 때문이다. 교육청은 원래 ‘희망메시지 공모전’을 사진이 아닌 포스터와 UCC 영상, 영화시나리오 등으로 진행했는데 지난해 일부 응모 분야에서 준비된 상장보다 응모자 수가 적은 상황이 나오는 등 흥행에 실패했다. 이 같은 비판에 대해 교육청 관계자는 “사진 촬영 전 반드시 학교의 협조를 구하도록 하고 사전 주의 문구를 보완하는 등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