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우리은행, 이달 지주회장 선임절차 돌입

후보풀 구성해 면접으로 압축

공모 없이 내달 23일까지 완료

'관치논란' 우려 예보는 배제

손태승 행장도 후보군 오를 듯

1015A10 우리금융지주 역대 회장



내년에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는 우리은행이 이달 말 6대 지주회장 선임 절차에 돌입한다. 자율경영 체제를 공고히 하기 위해 이번에도 지난해 은행장 선임 과정과 같이 예금보험공사 소속 비상임이사는 참여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손태승 우리은행장도 회장 후보군에 오를 수 있어 내·외부 인사와의 레이스가 펼쳐지게 됐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 사외이사들은 지난 2일과 8일 두 차례 내부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선정 방법으로 가닥을 잡았다. 헤드헌터사와 사외이사 추천을 통해 회장 후보 풀을 구성한 뒤 면접을 통해 압축해나가는 것으로 공모는 따로 진행하지 않는다. 우리은행은 오는 26일 정기이사회에서 이를 확정해 본격적인 우리금융지주 회장 선정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한 핵심관계자는 “별도 회장추천위원회를 만들기보다 이사회에서 지난해 행장 선임 작업을 했듯 같은 절차를 거쳐 최적임자를 찾을 것”이라며 “연말 주주총회 등의 일정을 고려하면 다음달 23일까지 선임 작업을 마치면 된다”고 밝혔다. 즉, 회장과 행장 겸직 여부를 떠나 손 행장을 포함해 적합한 인사들로 후보군을 꾸린 뒤 차기 회장을 뽑겠다는 것이다.

특히 민영화 이후 두 차례 열렸던 우리은행장 임원추천위원회와 마찬가지로 예금보험공사의 비상임이사는 이번에도 배제된다. 금융당국이 ‘우리은행 민영화 뒤 전혀 개입하지 않겠다’고 한 원칙이 있고 과거와 달리 이번에만 들어간다면 정부가 최고경영자(CEO) 선임에 관여한다는 ‘관치논란’이 거세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보는 18.43%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이사회 및 주주총회에서 필요할 경우 권리를 행사하게 된다. 지난해 1월 이광구 전 행장, 지난해 11월 손태승 현 행장을 뽑을 때 모두 동양생명,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한화생명, IMM PE 등 27.2%의 지분을 보유한 과점주주 5곳이 추천한 사외이사 5명으로 임추위를 꾸렸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 정부에서 금융권 자리가 많이 남지 않아 정치권의 움직임도 예의주시해야 한다”면서 “지주사 회장 선임에 있어서는 과점주주들도 더 강한 목소리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우리은행의 지주사 전환은 이르면 24일, 늦어도 다음달 7일 열리는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인가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은 조만간 신설되는 우리금융지주의 지배구조안을 마련해 금융감독원에 제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일각에서는 우리카드와 우리종합금융이 우리은행 자회사로 남게 돼 지주사에서 우리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인 만큼 초기 조직 안정을 위해 손 행장의 회장 겸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과거 SC지주와 BS지주(현 BNK) 등이 초기 안정을 위해 회장과 행장을 겸직했고 KB·신한·하나 등 비은행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존 지주사와 차이가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우리은행 노동조합도 외부 낙하산 인사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겸직을 주장하기도 했다.

다만 회장과 행장을 겸직하면 권력이 집중되고 내부 견제장치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는다는 금융당국의 방침에 따라 KB금융·BNK금융·DGB금융·JB금융 등 모든 금융지주사는 지난해부터 회장과 행장을 분리해 운영하고 있다. 우리금융지주의 경우에도 비은행 부문 확대와 지주체제 안착이라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큰 그림을 그릴 회장이 필요하다는 시각이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KB금융이 최근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하는 것도 윤종규 KB금융 회장이 행장 자리를 떼어내면서 비은행 부문에 주력했기 때문”이라며 “초기부터 지주사 틀에 맞춰 조직과 인력 구성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2001년 우리금융지주 출범 이후 회장직은 외부 출신이 많았다. 1대 회장을 맡은 고(故) 윤병철 전 회장은 하나은행장을 역임했고 2대 황영기 전 회장은 삼성, 3대 박병원 회장은 재정경제부 출신이다. 한일은행 출신 4대 이팔성 전 회장과 상업은행 출신 5대 이순우 전 회장이 ‘내부 출신’으로 꼽힌다. 이순우 전 회장은 성공적인 민영화를 위해 회장과 행장을 겸임했다.


황정원·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