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오늘 제주 국제관함식 하이라이트 '해상사열'…12개국 함정 참여

'욱일기 논란' 日, 함정 파견 안 해

지난 9일 제주 인근 해상에서 2018 해군 국제관함식 해상사열 리허설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율곡이이함(DDG-992), 대조영함(DDH-977), 광개토대왕함(DDH-971), 대구함(FFG-818), 소양함(AOE-51), 천왕봉함(LST-686), 남포함(MLS-570), 광양함(ATS-32), 청해진함(ASR-21), 해-5002, 아라온./사진=해군 제공지난 9일 제주 인근 해상에서 2018 해군 국제관함식 해상사열 리허설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율곡이이함(DDG-992), 대조영함(DDH-977), 광개토대왕함(DDH-971), 대구함(FFG-818), 소양함(AOE-51), 천왕봉함(LST-686), 남포함(MLS-570), 광양함(ATS-32), 청해진함(ASR-21), 해-5002, 아라온./사진=해군 제공



국내외 함정 41척과 항공기 24대가 참여하는 ‘2018 대한민국 해군 국제관함식’ 해상사열이 11일 오후 2시 제주 서귀포 앞바다에서 진행된다.

국내 함정으로는 좌승함인 일출봉함(LST-Ⅱ·4,900t)과 함께 국민참여단이 탑승하는 시승함인 독도함(LPH·1만4,500t)과 천자봉함(LST-Ⅱ·4,900t)을 비롯, 214급 잠수함인 홍범도함(SS-Ⅱ·1,800t)과 209급 잠수함인 이천함(SS-Ⅰ·1,200t) 등 24척이 참여한다. 미국 항공모함인 로널드레이건호(CVN-76·10만4,000t)를 비롯해 12개국의 외국 함정 17척도 참여한다.

해상사열은 △국내 함정·항공기 해상사열 △특전단 요원 고공·전술강하 △외국 군함 해상사열 △우리나라 공군기 축하비행 순으로 진행된다. 해상사열의 선두는 해군 P-3 해상초계기 5대가 이끈다. 이어 해상작전헬기인 AW-159와 링스 헬기, 해상기동헬기 UH-60과 해경헬기가 통과한다. 사열함(좌승함)과 시승함 2척이 기동하면 국내 함정이 율곡이이함(DDG·7,600t)을 시작으로 대조영함(DDH-Ⅱ·4,400t), 광개토대왕함(DDH-Ⅰ·3,200t), 대구함(FFG·2,500t) 등 함형별 크기순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 해군 특수전전단 특전요원들은 7명의 특전요원이 육군 UH-60 헬기를 타고 1.8km 상공에서 낙하하는 고공강하와 21명의 특전요원이 육군 CH-47 시누크헬기를 타고 381m 상공에서 각각 목표 해상으로 낙하하는 전술강하 시범을 보인다.

관련기사



외국함 사열 때는 우리 해군의 최영함(DDH-Ⅱ·4,400t)이 선두에서 외국 함정을 인도한다. 이어 국가별 알파벳 순서로 사열에 참가한다. 가장 큰 로널드레이건호는 가장 후미에 위치한다. 인도네시아의 훈련 범선인 비마 수치(2,000t)는 함정 특성상 항 인근에서 별도로 사열을 한다.

미국은 로널드레이건호를 비롯해 순양함인 챈슬러즈빌함(CG-62·1만t)과 앤티탐(1만t) 등 3척을, 러시아는 순양함인 바랴그함(1만1,000t)과 구축함인 애드미랄펜텔레예브함(8,600t), 지원함인 보리스부토마함(2만3,000t) 등 3척을 각각 이번 제주 국제관함식에 파견했다. 호주와 브루나이, 캐나다, 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도 1~2척의 해군 함정을 보냈다.

한편 욱일기 게양과 관련해 논쟁이 일었던 일본 자위대는 이번 제주 국제관함식 해상사열에 함정을 보내지 않았다. 대신 일본은 오는 12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리는 제16회 서태평양해군심포지엄(WPNS)에 일본 해상자위대 막료장(우리의 해군참모총장)인 무라카와 유타카 대장을 비롯해 대표단 6명을 파견한다. 중국도 함정을 보내지 않지만, 대표단은 파견하기로 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