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文대통령, 오늘 제주 관함식 참석 후 강정마을 주민 만난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에서 열린 제70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전군 부대 깃발을 지켜보며 경례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에서 열린 제70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전군 부대 깃발을 지켜보며 경례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제주 국제관함식에 참석한 후 해군기지 문제로 2007년 이후 갈등을 겪어 온 제주 강정마을 주민들을 직접 만난다.

청와대는 이날 오후 문 대통령이 제주 서귀포 앞바다에서 열리는 ‘2018 대한민국 해군 국제관함식’에 참석해 국내외 함정들의 해상사열을 한 후 강정마을 주민들과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지난 11년동안 몸과 마음을 다친 강정마을 주민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전할 것”이라며 “아픔과 상처를 공감하고, 강정마을 주민의 고통을 치유하는 데 정부가 앞장서겠다는 뜻도 밝힐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제주 해군기지가 제주도를 넘어 동북아 평화의 구심점이 돼야 하며, 강정마을에서 용서와 화해가 울려 퍼지기를 바란다는 취지의 말씀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 대변인은 특히 이번 관함식이 제주에서 열리게 된 것부터가 강정마을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애초 관함식이 어디에서 열릴 것인지부터 논란이 조금 있었고, 부산이나 진해에서 열릴 수도 있었다”며 “그러나 문 대통령은 처음부터 관함식이 강정마을 앞바다에서 열리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꼭 참석하겠다는 생각도 여러 차례 밝혔다. 설사 가다가 (중간에) 돌아오더라도 제주에서 하는 관함식에 꼭 참석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그는 “강정마을에 해군기지를 만드는 것이 2007년 참여정부 때 처음 결정이 됐고, 그 후 11년 동안 많은 고통과 상처가 있었다”며 “그래서 문 대통령은 이 문제를 치유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제주도를 갈등·분쟁의 섬에서 평화와 치유의 섬으로 만들고 싶은 의지가 있었던 것”이라고 소개했다.

또한 김 대변인은 “2007년 해군기지를 만들 당시에는 크루즈 선박이 들어올 수 있는 관광목적의 민항과 군항이 병존하는,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개념을 분명히 했다”며 “2007년에는 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기로 했는데, 이후 추진 과정에서 군용 중심으로 성격이 바뀌고 주민과 갈등이 있었다”고 말했다.

‘제주에서 관함식을 개최하는 것이 또 하나의 상처가 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평화에는 양면성이 있다. (분쟁을) 회피함으로써 평화를 지킬 수 있고, 적극적으로 대처해 지킬 수도 있다”며 “한반도 역시 힘이 없을 때는 열강들의 각축장이 됐지만 우리가 중심이 돼 문제를 풀 때는 동북아 새로운 질서의 중심축이 될 수 있지 않나”라고 말했다. 또한 “힘이 있으면 열강의 충돌을 막는 평화의 바다가 될 수 있다. 제주도가 평화의 거점이 될 수 있고, 그런 연장선에서 관함식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