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서경 캠페인-아픈 사회, 우리가 보듬어야 할 이웃] 여전히 부담 큰 난임시술

<2>난임부부

건보돼도 회당 수백만원 들어

결혼 4년차가 되도록 자녀를 갖지 못했던 이은정(35·가명)씨는 최근 남편과 난임 병원을 찾았다가 큰 부담감만 안고 돌아왔다. 일단 검사부터 하자는 말에 채혈과 초음파 검사를 받았는데 비용만 20만원가량이나 나온 것이다. 이씨는 “놀라서 주변에 물었더니 검사비로만도 수십만원이 더 나가고 본격 시술에 들어가면 수백만원이 깨질 각오를 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실패하면 돈이 더 들 테니 가급적 빨리 임신에 성공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리고 있다”고 고민을 털어놓았다.

임신의 어려움을 뜻하는 난임은 주로 생리적·의료적 차원의 문제로 다뤄진다. 그러나 실제적인 현상을 보면 이씨의 경우처럼 경제적·사회적 부담이 수반되는 총체적 이슈로 볼 수 있다. 이런 종합적 시각에서 접근해야 비로소 아이를 갖지 못하는 국민들의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다.


지난해부터 난임 시술에 건강보험이 적용됐지만 연령과 횟수 제한으로 여전히 문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춘선 한국난임가족연합회 회장은 “경제적인 문제가 난임 부부에게 스트레스로 다가오지 않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국내 난임 환자가 20만명을 넘었다. 간절히 아이를 원하지만 갖지 못하는 이들이 해마다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난임 환자는 지난 2007년 17만8,000명에서 2016년 22만명으로 급증했다. 난임 환자 증가세와 맞물려 이들이 겪는 사회적·경제적·육체적 어려움은 여전하다. 난임 부부들은 의학적인 난임도 문제지만 사회적 낙인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크다고 입을 모은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난임 원인부터 해결까지 종합적인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뿐 아니라 따뜻한 시선과 배려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안나 중앙난임우울증센터장은 “임신과 출산은 선택이지만 아이를 원하는 사람이 가능한 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데 대해서는 정부가 지원을 해줘야 한다”며 “끝내 임신이 안 된 가정들을 위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그들이 가장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이인지 행복인지를 스스로 깨닫게 하는 상담 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