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응급실 옮기다…골든타임 놓치는 심근경색환자

작년에만 1만2,000여명

응급의료 인프라 개선 시급

2715A16 급성심근경색 환자 전원비율 상위 지역



응급실을 옮겨야 하는 바람에 생사가 갈리는 이른바 ‘골든 타임’을 놓친 급성심근경생 환자가 지난해에만 1만2,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더불어민주당 신동근 의원이 국립중앙의료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급성심근경색 환자 2만6,430명의 4.6%인 1,222명이 처음 내원한 응급실에서 다른 응급실로 전원 조치된 것으로 조사됐다.


전원 규모에서는 경기 329건, 충남 186건, 서울 136건, 경북 85건, 전북 83건, 경남 56건, 강원 54건 등 순으로 전원한 환자가 많았다. 하지만 내원 건수 대비 전원율에서는 충남 서산시가 39.2%로 가장 높았고 충남 태안군(30.6%), 전북 남원시(30.3%), 경북 문경시(29.1%), 강원 삼척시(28.6%) 등 지방에 거주하는 환자일수록 많이 응급실을 옮겼다.

관련기사



급성심근경색이 발생한 후 응급실 내원까지 2시간 이내를 골든 타임으로 보지만 이를 초과하는 지자체도 2016년 139곳이었지만 지난해에는 158곳에 달했다. 전남에서는 22개 지자체 중 골든 타임을 넘긴 곳이 21곳에 달했다. 이 중 2곳은 5시간이 지나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 의원은 “급성심근경색은 발병 후 30분부터 괴사가 일어나는 등 생사를 놓고 촌각을 다투는 질병”이라며 “응급의료 인프라 취약지부터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설치해 신속하게 환자가 치료받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