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미중 무역전쟁 새 불씨...美, 中푸젠진화반도체 수출 제한

중국 푸젠진화반도체 홈페이지 캡처. /연합뉴스중국 푸젠진화반도체 홈페이지 캡처.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중국 D램 제조업체인 푸젠진화반도체에 대한 수출을 제한하기로 했다. 미중 양국이 전면적인 무역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중국 제조 2025’의 핵심을 건드리는 이번 조치가 무역전쟁을 격화시키는 새로운 불씨가 될지 주목된다.

2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푸젠진화반도체의 새로운 메모리 칩 능력이 미국의 군사 시스템용 칩 공급업체의 생존에 ‘심대한 위협’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미 상무부는 푸젠진화반도체를 소프트웨어와 기술 등의 수출을 제한하는 리스트(Entity List)에 올렸으며, 이에 따라 미 기업들은 푸젠진화반도체 측에 수출하려면 미 당국으로부터 특별승인을 얻어야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푸젠진화반도체는 2016년 2월 설립돼 내년 양산을 앞둔 것으로 알려졌다. 생산설비에 56억 달러가 투입된 것으로 전해졌다. AFP통신은 “푸젠진화반도체는 D램의 실질적인 생산능력을 갖추는 데 있어서 완성 단계에 접근해 있다”면서 미국의 기술에 기초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윌버 로스 미 상무장관은 성명을 통해 “푸젠진화반도체의 새 설비는 미국을 원산지로 하는 기술의 수혜자로 보인다”면서 “이번 수출 제한 조치는 우리 군사용 시스템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의 공급체인을 위협할 수 있는 푸젠진화반도체의 능력을 제한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스 장관은 또 “외국 회사가 우리의 국가 안보 이익에 반하는 활동을 할 때 우리는 우리의 안보 보호를 위해 강력한 조처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를 두고 주요 외신들은 미중 간 무역전쟁에 이번 조치가 새로운 국면이 될 지 주목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조치가 푸젠진화반도체에 어떤 파급 효과를 미칠지는 불투명하다”면서도 “푸젠진화반도체는 ‘중국 제조 2025’ 프로그램의 핵심 가운데 하나로서, 이번 조치로 미중간에 새로운 긴장이 촉발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중국 제조 2025’는 중국의 첨단 분야 육성 정책이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