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항, 2020년 항만 배후단지 모자랄 수도"

IPA, 공급면적 부족 가능성 지적

"복합운송업체 유치 등 고려해야"

인천항 아암물류1단지 전경. /사진제공=인천항만공사인천항 아암물류1단지 전경. /사진제공=인천항만공사



인천항이 오는 2020년 이후 항만 배후단지 부족 사태에 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와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까지 공급 예정인 배후단지 면적보다 입주 희망 업체가 요구하는 부지가 더 크기 때문이다.

31일 인천항만공사(IPA)의 ‘신규항만 배후단지 활용 계획 및 활성화 방안 수립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항 배후단지에 입주를 희망하는 150개 업체가 요구한 면적은 513만㎡다. 이는 IPA로부터 의뢰를 받은 용역업체 건일이 국내 1,036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하지만 해양수산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제3차 항만배후단지 개발 종합계획’에 따르면 2020년까지 인천항에 공급할 배후단지 면적은 아암물류2단지와 신항 배후단지 1-1구역 등 364만㎡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항만 배후단지에는 화물 보관·집배송·조립·가공 관련 시설은 물론 업무·상업시설 등 항만 활성화에 필수적인 시설이 들어선다. 이 때문에 항만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면 배후단지가 충분해야 한다는 게 항만업계의 의견이다.

인천 신항도 배후단지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컨테이너 물동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컨테이너 장치장과 야적장, 소량화물(LCL) 창고가 부족해 다른 항만 배후단지로 화물을 옮기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차량 1대당 3만~5만 원의 추가 물류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용역보고서는 “일시적인 항만 배후단지 부족 현상을 해결하려면 인천항만공사 계획에 의해서 배후단지 구역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업체 수요에 따라 배치해야 한다”며 “송도국제도시·인천국제공항과 가깝고, 2,500만명의 수도권 배후 인구를 둔 인천항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전자상거래나 콜드체인, LCL, 항공·해상 복합 운송 업체 등을 유치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이번 용역결과를 토대로 인천항 배후단지가 조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해양수산부에 건의하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