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부동산업계 400조원 부채폭탄 ‘째깍’…금리도 4년만에 최고

현금부족·금리상승 속 내년 1분기 20조원 만기도래

금융규제 지속돼 자금조달 난망…S&P “내년에 부도 증가할 것”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중국 부동산개발업계에서 내년부터 채무불이행이 증가할 것이라는 경종이 울리고 있다.

5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ICE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ICE BofAML) 지수를 보면 올해 중국 고수익률 채권 발행업체들의 달러화 부채 금리는 11.2%로 2배 뛰어 거의 4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통신은 이들 업체의 대다수가 3,550억 달러(약 400조원)의 부채를 안고 있는 부동산개발업체들이라고 지적했다. 설상가상으로 중국 부동산개발업계는 역내, 역외시장을 통틀어 2019년 1분기에 찾아오는 180억 달러(약 20조원) 규모의 채권 만기에 대처해야 한다.


블룸버그는 자체 분석한 자료를 통해 투자자들이 일부 채권에 대해 조기상환을 요구하면 업체들의 부담이 2배로 늘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 부동산개발업체들은 2년간 이어진 중국 당국의 그림자 금융 단속에 따라 다른 민간부문과 마찬가지로 현금 부족 사태에 시달리고 있다.

관련기사



최근 중국 관영 신화통신도 당국이 민간 기업의 자금난을 완화할 조치를 펴고 있지만 이미 도입된 부동산 규제정책에는 변화를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NN 인베스트먼트 파트너스의 신용부문 선임 애널리스트인 클레먼트 청은 “시장 심리가 바뀔 때까지 부동산개발업계의 자금조달 환경은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 중국 부동산업계가 위태로운 모습을 잇따라 노출하고 있다. 중국 장쑤성 우시에 있는 우저우 인터내셔널 홀딩스는 역외, 역내에서 모두 올해 채무상환에 실패했고, 부동산업체를 소유한 네오글로리 홀딩 그룹도 지난 2개월간 최소 세 차례 채무상환 기일을 맞추지 못했다. 업계 최대의 기업들도 성공적인 채권발행을 위해 매우 높은 수익률을 제시해야 하는 형국에 이르렀다. 중국에서 매출이 두 번째로 큰 건설업체인 중국 에버그란데 그룹은 지난주에 18억 달러(약 2조원) 규모의 채권을 발행했는데 5년 만기 채권의 표면금리가 무려 13.75%에 달했다.

국제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내년에 부동산업계의 신용등급 강등 사례가 더 많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크리스토퍼 리 S&P 기업평가 국장은 “내년에 중국 부동산개발업체들에 부도가 증가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