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 스마트시티로 남북협력 기회 선점해야"

부산이 북한과 스마트시티 협력을 위해서는 북한 평양, 개성, 원산에 도시 맞춤형 스마트 도시서비스 구축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부산발전연구원은 5일 BDI 정책포커스 ‘부산 스마트시티로 남북협력의 기회 선점’ 보고서를 내고 부산과 북한의 스마트시티 협력을 위한 추진방안을 제시했다. 앞서 오거돈 부산시장은 지난달 4일부터 사흘간 평양에서 열린 민족통일대회 참석차 방북 시 남북 상생 교류협력 5대 사업과 함께 스마트시티 교류를 새로운 남북협력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부산의 스마트시티 노하우를 토대로 낙후·노후화된 북한의 도시서비스와 산업시스템의 스마트화를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재수 부산시 경제부시장도 지난달 20일부터 23일까지 열린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초청으로 평양을 방문했을 때 스마트교통 등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의 북한 추진 시 부산시의 적극적인 기술지원을 제안했다.


보고서는 부산이 북한과 스마트시티 협력을 위해 △대북 스마트시티 기술협력을 위한 토대 마련 △도시맞춤형 스마트 도시서비스 구축 지원 △부산 특화산업분야의 스마트기술 협력 강화 △스마트 기술인력 교류 및 교육프로그램 협력 △북방협력 재원 확보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 책임연구자인 오동하 선임연구위원은 “스마트시티 협력을 위해 먼저 부산시는 협력이 용이한 북한 도시를 선정해야 한다”며 “부산의 강점인 항만, 수산, 조선기자재, 기계부품소재, 스마트교통 등을 살리기 위해서는 평양, 개성, 원산이 유망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오 선임연구위원은 이어 “북한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해 우선 대상 도시의 인프라를 조사한 뒤 도시서비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시티 기본계획을 공동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다양한 도시서비스 중 부산시가 운영 노하우가 많은 재해예방을 위한 스마트빅보드 서비스와 스마트신호등을 비롯한 스마트 교통시스템이 우선 지원될 수 있다. 부산 특화산업 분야의 스마트기술 협력도 고려될 수 있다. 오 선임연구위원은 “신발, 의류, 기계부품소재 관련 북한 산업단지에 스마트팩토리 보급을 지원하고 부산항만공사의 스마트항만 기술도 지원 가능할 것”이라 말했다. 특히 “부산 미래를 위한 새롭고 특화된 남북교류협력사업 추진이 필요하다”며“스마트시티 협력은 부산과 북한 도시들의 동반성장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 강조했다.

현재 부산 해운대 센텀시티에는 국가 첫 인증 부산스마트시티 실증단지를 조성하고 있고 에코델타시티에도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사업이 진행 중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