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양

수도권-지방, 아파트 분양 양극화 더 심화…"분양 전망도 깜깜"

수도권과 지방 아파트의 분양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26일 오전 인천시 서구 SK리더스뷰 모델하우스에 시민들이 전시 주택을 보기 위해 줄지어 서 있는 모습./연합뉴스수도권과 지방 아파트의 분양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26일 오전 인천시 서구 SK리더스뷰 모델하우스에 시민들이 전시 주택을 보기 위해 줄지어 서 있는 모습./연합뉴스



수도권과 지방 아파트의 분양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수도권의 민간아파트 초기 분양률은 95.3%로 집계됐다. 전 분기의 88.5%보다 6.8%포인트 상승하며 90%대를 넘어섰다. 초기 분양률은 분양개시일 이후 3개월 초과 6개월 이하 기간의 평균 분양률을 의미한다. HUG의 주택분양보증이 발급된 후 입주자 모집승인을 받아 분양한 30가구 이상의 전국 민간아파트를 대상으로 한다.

지난 3분기 기타지방(수도권, 5대 광역시 및 세종시를 제외한 지역)의 초기 분양률은 평균 58.6%로, 전 분기의 64.8%보다 6.2%포인트 떨어지며 50%대로 내려앉았다. 5대 광역시 및 세종시 초기 분양률은 87.7%로 비교적 높았지만, 2분기의 98.4%보다는 10.8%포인트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하면 수도권과 지방의 초기분양률은 모두 내림세였다. 다만 수도권(-1.4%포인트)에 비해 5대 광역시 및 세종시(-6.2%포인트)와 기타지방(-16.1%포인트)의 하락 폭이 더 컸다.

관련기사



앞으로의 분양 전망도 다소 어둡다. 분양 성수기인 가을이 왔지만, 9·13대책의 영향으로 경기 하남 위례신도시, 성남 판교 대장지구 등의 분양이 줄줄이 연기됐다.

지난달 전국 분양경기실사지수(HSSI) 전망치는 전달보다 17.0포인트 내린 65.4를 기록했다. 전국 예상분양률은 73.6%로 10개월 연속 70%대에 머물렀다. 분양경기의 침체로 더 큰 타격을 입은 중견·중소 주택업체의 경우 이달 수도권 내 분양계획이 전무하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각종 규제로 분양 여건이 좋지 않다. 더구나 지방은 분양해도 미달하는 경우가 많아 업계로서는 이래저래 난감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