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폰으로 부르면 스스로 오는 공유차량

SK텔레콤, 카셰어링 자율주행차 시연 성공

쏘카 관계자가 7일 경기도 시흥시 배곧생명공원 인근 도로에서 공유차량용 자율주행차를 스마트폰으로 호출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쏘카 관계자가 7일 경기도 시흥시 배곧생명공원 인근 도로에서 공유차량용 자율주행차를 스마트폰으로 호출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



스마트폰으로 공유차량을 호출하면 자율주행으로 이용자의 위치에 차가 도착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SK텔레콤은 7일 오전 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서울대, 쏘카, SWM 등과 함께 경기도 시흥시 배곧생명공원 인근 도로 2.3km 구간에서 공유차량용(카셰어링) 자율주행차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연은 국토부가 주관한 ‘자율주행 기반 카셰어링 서비스 기술 개발’ 실증 과제의 성과를 보이기 위해 마련됐다. 시연에는 SK텔레콤이 서울대 · 연세대 등과 공동 개발한 자율주행차 총 5대가 쓰였다. 현대차 ‘G80’과 ‘아이오닉’, 기아차 ‘K5’와 ‘레이’, ‘니로’를 각각 개조한 차량들이다.


시연에 참여한 체험단은 스마트폰 앱에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고, 자율주행차를 호출했다. 주변 자율주행차는 호출 을 받은 뒤 체험단 위치를 파악하고 몇분 내 도착했다. 목적지에 도착한 뒤 자율주행차는 다음 탑승객을 찾아 이동했다. 더이상 승객이 없으면 차량은 스스로 주변 공유차량 주차장으로 이동해 호출을 기다렸다.

관련기사



이날 선보인 카셰어링용 자율주행 AI는 고객과 가장 가까운 위치의 차량을 연결하고, 최적의 주행 경로를 찾는 등 우수한 성능을 드러냈다. 또 주행 중에는 내부에 탑재한 통신모듈을 통해 관제센터, 신호등과 정보를 주고 받으며 위험 요소를 피하는 데도 성공했다.

SK텔레콤은 앞으로 5G 기술을 접목해 자율주행, 차량 호출, 자율 주차 기술을 더욱 발전시킬 계획이다. 자율주행 기반 대중교통시스템 실증연구 과제도 수행하며 교통 체증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도 연구해나갈 예정이다.

박진효 SK텔레콤 정보통신(ICT)기술원장은 “5G과 인공지능이 교통 체증과 사고 등 도로 위 사회적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다”며, “안전하고 편리한 자율주행 시대를 위해 관련 기술 개발에 더욱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