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초기 5G속도 더 빨리낸다."...SKT, 삼성전자와 5G 단독규격 교환기 개발

SK텔레콤 연구원들이 경기도 수원시 삼성전자 5G연구소에서 5G SA교환기성능을 테스트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 연구원들이 경기도 수원시 삼성전자 5G연구소에서 5G SA교환기성능을 테스트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이 삼성전자와 함께 5G 단독규격(Standalone)기반의 교환기 핵심기술과 프로토타입 장비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이에 따라 더욱 빠르고 향상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SK텔레콤이 삼성전자와 함께 개발한 5G 단독규격(SA)은 현재 이동통신사들이 구축 중인 5G NSA규격(5G·LTE 복합규격)보다 한 단계 진일보한 기술이다. NSA는 기존 4G LTE장비와 네트워크를 일부 공유하는 형태로 중간단계라고 본다면 SA규격은 5G만 사용하는 형태이다. SK텔레콤 측은 SA규격과 NSA규격의 기술개발 속도는 1년 가량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SK텔레콤과 삼성전자가 개발한 5G SA 교환기는 무선기지국과 인터넷망 사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번에 탑재한 기술은 패킷 분류, 품질 점검, 과금, 전송 등 순차적으로 거쳐야 할 단계를 한번에 수행하는 데이터 병렬 처리시스템이 담겨 있어 눈길을 끈다. 또 성격이 비슷한 데이터를 모아 압축 전송하는 ‘데이터 가속 기술’, 블록을 쌓듯 보조 장비를 탈부착 하는 ‘기능 모듈화’ 기술도 처음으로 도입됐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5G SA 교환기 관련 기술이 현장에 적용되면 초기 5G보다 약 2배 빠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라 초고화질 영상 스트리밍이나 사물간 통신시에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고 대규모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아울러 기능 모듈화 기술을 응용해 국방 · 금융기관 · 연구소로 연결되는 데이터 통로에 양자보안 기술을 더하거나 자율주행 관제센터 · 지진 관측소 등 찰나의 끊김도 없어야 하는 중요 시설에 데이터 하이패스 기능도 넣을 수 있다.

박진효 SK텔레콤 ICT기술원장은 “지난 6월 5G SA 표준이 발표된 이후 발빠르게 기술 개발에 돌입해 성과를 조기에 낼 수 있었다”며 “5G망을 안정적으로 구축하는 한편 미래 성능 향상을 고려해 5G SA 등 다음 단계로의 진입도 빠르게 이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