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국제유가 약세장 진입…고점대비 20% 하락

이란제재 8개국 면제·美 지속적 원유 생산·재고 증가 원인

미국 텍사스주 미들랜드의 원유 시추기/로이터연합뉴스미국 텍사스주 미들랜드의 원유 시추기/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의 이란 제재에도 국제유가가 하락하며 약세장에 진입했다. 미국의 원유 재고 증가와 원유 수요 감소 우려 등이 유가를 끌어내리면서 유가가 고점 대비 20% 이상 떨어진 것이다.

12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전날보다 배럴당 1.6%(1.0달러) 떨어진 60.6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2014년 7월 이후 최장인 9거래일 연속 하락이자, 미국의 대이란 원유 제재 복원 이후 4거래일 연속 하락이다. 지난달 76.90달러까지 올랐던 것에 비하면 21%가량 하락했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선물도 오후 3시 30분 현재 배럴당 1.98%(1.43달러) 하락한 70.6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거의 4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던 지난달 3일 86.74달러에서 19가량 내렸다.

관련기사



미국의 대이란 원유제재는 지난 5일 제재 시행에 앞서 국제유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지만, 미국이 8개국에 대한 한시적 제재면제를 허용하면서 수급 부담이 완화,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 미국의 원유 생산 증가와 이에 따른 원유 재고 증가도 유가 하락의 요인이다. 전날 미 에너지정보청(EIA)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원유 재고는 7주 연속 증가, 지난 6월 이후 최고 수준인 4억3,200만 배럴을 기록했다. 미국의 원유 생산은 기록적인 수준인 하루 1,160만 배럴로 증가했다.

미국의 이란 제재를 앞두고 최대 산유국 가운데 하나인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가 원유 생산을 늘려온 것도 유가 하락의 한 요인이 됐다.

미 EIA는 최근 올해 WTI 가격 전망치를 배럴당 66.79달러, 내년 64.85달러로 각각 2.4%, 6.8% 하향 조정했으며 브렌트유 가격도 올해 배럴당 73.12달러, 내년 71.92달러로 이전보다 1.8%, 4.2% 낮게 전망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