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구스틴 카르스텐스 국제결제은행(BIS) 사무총장은 “주요국이 구조개혁을 미뤄 저성장에 접어든 점이 가장 우려스럽다”며 “구조개혁으로 노동생산성을 높이고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20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구조개혁이란 좀 더 경쟁하는 환경을 만들고 인프라에 투자해 노동생산성을 높이는 것, 다자간 무역 등을 뜻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분쟁도 내년 세계 경제 하방리스크로 꼽았다. 그는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3.9%에서 3.7%로 하향 조정한 것을 언급하면서 “무역분쟁은 불확실성을 높이고 투자 둔화, 소비 변화로 글로벌 밸류 체인을 변화시킨다”며 “무역분쟁 때문에 세계 경제 둔화 가능성, 많은 불확실성 요소가 생겼다”고 분석했다.
그는 다만 이달 말 아르헨티나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만나면 앞으로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해결을 위한 분명한 그림을 그리고 양국이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며 “건설적인 협상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금리 인상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지만, 충분히 예고가 된 만큼 각국이 적절히 대응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한국에 대해 “세계 전체적으로 한국은 굉장히 견조한 성장을 해왔다”며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지만 확신하건대 한국은 적절한 통화정책을 통해 잘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BIS 이사로 선임된 배경을 두고 “BIS 이사회에 일본, 중국, 인도 외에 한국이 더해져 BIS에서 아시아의 역할이 한층 중요해졌다”며 “한국의 경제 개방성, 금융시장 중요성, 물가상승률 관리 등 여러 면을 고려했을 때 한국은 BIS 이사회에 오래전부터 있어야 마땅했다”고 강조했다.
BIS는 ‘중앙은행들의 중앙은행’으로 불린다. 주요 60개국 중앙은행을 회원으로 두고 있으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금융 안정을 위한 중앙은행 간 협력의 구심점이 됐다.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멕시코 중앙은행 총재를 지낸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지난해 12월부터 BIS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