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제2의 윤창호 사건 막자" 음주문화 개선 나선 부산

중독관리센터 7곳으로 늘리고

도시공원 등 '禁酒 지역' 확대

부산 해운대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정신건강 전문요원이 알코올 중독자와 절주상담을 하고 있다./사진제공=부산시부산 해운대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정신건강 전문요원이 알코올 중독자와 절주상담을 하고 있다./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가 음주운전으로 인한 폐해를 줄이기 위해 음주문화 개선에 적극 나선다. 지난 9월 휴가를 나왔다가 부산 해운대에서 음주운전 차량에 치여 숨진 고(故) 윤창호씨 사건으로 음주운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법안이 잇따라 발의되는 등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졌음에도 사고가 잇따르자 지방정부가 음주문화 자체를 바꾸겠다고 나선 것이다.

부산시는 건전한 음주풍토를 조성하고 음주운전을 근절하기 위해 현재 3곳에서 운영하고 있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역할을 강화하고 앞으로 인구 20만명 이상 지역 7곳으로 늘리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센터는 알코올 등 중독 분야 정신건강전문요원을 배치해 중독자 조기발견, 상담, 치료, 재활 지원, 중독 폐해 예방 등을 통해 시민 정신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무료 이용시설이다. 현재 부산대병원, 온종합병원, 부산시립병원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다.


음주운전으로 적발돼 준법운전강의 수강명령 판결을 받은 시민을 대상으로 법무부 산하 보호관찰소에서 실시하는 준법운전교육에도 센터 전문강사를 확대 지원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음주폭력 등으로 보호처분결정 판결을 받은 시민에 대해서는 재발 방지 실효성을 높이기로 했다. 6개월 이상 개별상담과 집단 재활프로그램 등에 참여하도록 해 알코올 폐해 인지행동치료, 동기강화치료 등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음주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센터와 아동보호전문기관, 정신건강복지센터, 사회복지관 등이 참여하는 유관기관 회의에는 경찰관서도 참여시키기로 했다. 이와 함께 도시공원과 공공장소 등 술을 마실 수 없는 음주 청정구역을 확대하고 음주 폐해의 심각성을 알리는 대학생 절주 서포터즈도 운영할 계획이다.

이밖에 지역사회 사회복지공무원·학교·보건소·복지시설·상담소·산업체 등에서 직접 알코올 상담을 수행하고 있는 절주상담 실무자에 대한 심화교육을 하고 신규 인력 양성을 확대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시민 대상 절주실천 인식개선 교육 등을 강화해 지역사회 절주문화 정착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