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미래에셋자산운용, 中서 사모펀드운용사 자격 획득

기관·자산가 대상 펀드 판매 계획

미래에셋자산운용이 국내 최초로 중국 현지에서 사모펀드 운용사 자격을 획득했다. 시장 규모만 20조달러로 추산되는 세계 2위 규모의 중국 본토 자산운용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21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중국 법인인 ‘미래익재투자관리(상하이)’가 중국증권투자기금업협회에 외국자본 독자 사모펀드 운용사로 등록했다고 밝혔다.


아직 금융 시장이 전면적으로 개방되지 않은 중국은 지난 2016년 6월 말 펀드 시장 개방 정책을 내놓으면서 합작회사가 아닌 외국자본이 단독법인 형태로 사모펀드 운용사를 설립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지난해부터 피델리티·UBS·블랙록·브리지워터스 등 글로벌 금융회사들이 인가를 받은 데 이어 미래에셋이 16번째다. 홍콩·싱가포르 등 범중화권을 제외하면 아시아 금융회사 중 첫 사례다.

관련기사



미래에셋은 중국 기관과 고액 자산가를 상대로 중국 본토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를 판매할 계획이다. 적격외국인기관투자가 자격을 갖춘 외국 금융사를 비롯해 선강퉁(선전·홍콩 증시 교차거래)과 후강퉁(상하이·홍콩 증시 교차거래) 투자자에게 투자자문도 할 수 있다.

올해 8월에는 상하이 법인 자회사 미래익재투자펀드관리가 외국자본에 부여되는 적격국내 유한파트너 자격과 외화투자 한도를 취득해 역외 설정된 미래에셋 펀드를 중국 본토 증권사에서도 판매할 수 있게 됐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측은 “올해 들어서만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운용사 글로벌X(Global X) 인수 및 베트남투자공사와 현지 합작 운용사를 설립하는 등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 같은 성과는 그동안 미래에셋이 꾸준히 해외 시장에서 쌓아온 노력을 인정받은 결과”라고 자평했다.한편 박현주 회장이 중국에 체류하면서 중국 비지니스를 점검하고 라이센스 관련 시스템 구축에 직접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