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 "AI가 초음파 이미지 분석"…LG "수술 장면 끊김없는 모니터"

'북미 방사선의학회' 참가

첨단 의료용 영상기기 뽐내

25~30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북미영상의학회 2018’에 참가한 관람객들이 삼성의 전시존을 방문해 다양한 인공지능(AI) 기반 진단 기기를 살펴보고 있다./사진제공=삼성전자25~30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북미영상의학회 2018’에 참가한 관람객들이 삼성의 전시존을 방문해 다양한 인공지능(AI) 기반 진단 기기를 살펴보고 있다./사진제공=삼성전자




관람객들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개막한 ‘북미방사선의학회 2018’에 마련된 LG전자 부스에서 의료상황별 맞춤형 의료용 영상기기를 살펴보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관람객들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개막한 ‘북미방사선의학회 2018’에 마련된 LG전자 부스에서 의료상황별 맞춤형 의료용 영상기기를 살펴보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


삼성전자(005930)LG전자(066570)가 매년 시카고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방사선 학회 ‘북미방사선의학회 2018’에서 최첨단 의료용 영상기기를 뽐냈다. 25~30일(현지시간) 진행되는 이 행사에는 약 5만5,000명의 의료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삼성전자와 삼성메디슨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초음파, 디지털 엑스레이, 컴퓨터 단층 촬영(CT), MRI 등을 공개했다고 26일 밝혔다. ‘초음파존’에서는 AI 기술로 유방 초음파 이미지를 분석해주는 ‘에스 디텍트 포 브레스트’ 기능이 소개됐다. 이 기능은 약 1만개의 초음파 진단 사례로 구성된 빅데이터에 기반한다. 의료진의 판단을 돕고 표준화된 형태의 진단보고서를 제공한다.


삼성은 ‘엑스레이존’에서도 AI 기능을 선보였다. 뼈에 가려진 폐 질병 부위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본 서프레션’ 기능이 대표적이다. ‘CT존’에는 내장 배터리가 탑재돼 응급차량 등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 가능한 이동형 CT를 전시했다. ‘MRI존’에서는 정상인과 골관절염 환자의 영상을 비교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관련기사



LG전자는 관람객들이 LG전자 수술용 모니터로 수술 장면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전시장을 꾸몄다. 울트라HD 수술용 모니터(모델명 27HJ710S)와 풀HD 수술용 모니터(모델명 27HK510S)가 소개됐다. 혈액·환부 등을 또렷하게 구분해 보여준다. 반응 속도가 빨라 수술 집기의 움직임을 끊김 없이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LG전자는 디지털 엑스레이 검출기(모델명 17HK700G-W·14HK701G-W)도 소개했다. 촬영 결과를 디지털 파일로 만들어 PC에 즉각 전송해 보여준다. 환자들이 오래 대기할 필요가 없다. 원격진료를 위한 임상용 모니터(모델명 27HJ713C)와 색을 보정해 검사결과를 보여주는 진단용 모니터(모델명 21HK512D) 등도 공개됐다.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