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식약처 “불법 식품 분석해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 규명”

부정·불법 식품 선제적 안전 관리 가능해져

국제학술지 '과학과 정의'에 연구결과 등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신종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규명한 유사물질은 발기부전치료제 성분인 실데나필의 화학구조를 의도적으로 변형한 것으로 ‘데스메틸피페라지닐 프로폭시실데나필’로 이름 붙였다 .

새로운 유사물질을 발견함에 따라 식품과 건강기능식품 등에 데스메틸피페라지닐 프로폭시실데나필이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 선제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해졌다.


식약처는 지난 2015년부터 이달까지 발기부전치료제나 유사물질이 들어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부정·불법 식품 및 위조의약품 등 287건을 분석했다.

관련기사



이 중 실제로 치료제나 유사물질이 들어있던 제품은 131건(45.6%)에 불과했다 . 검출 성분은 오리지널 의약품인 실데나필(39.2%)과 타다라필(26.4%), 실데나필 유사물질(19.8%), 타다라필 유사물질(8.5%) 등이었다.

실데나필은 비아그라의 주성분으로 미국계 제약사인 화이자가, 타다라필은 시알리스의 주성분으로 역시 미국계 제약사인 일리릴리가 각각 개발했다.

세계적으로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은 지금까지 총 11개가 규명됐다.

식약처는 국제학술지인 ‘과학과 정의(Science & Justice)’에 분석법을 등재했다고 설명했다 .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